월정사 팔각구층석탑(月精寺 八角九層石塔)-국보 제48호 높이 15.2m의 이 석탑은 고려초기 석탑을 대표하는 다각다층석탑으로 석탑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 석탑이 우리나라에서 주로 유행..
광교마을 비석골(碑石谷)과 불당골(佛堂谷)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의 비석거리는 광교수련원 건너편에 있는 마을이름이며 그 옆의 골짜기는 비석골(碑石谷)이다. 이 곳에는 한산 이씨의 묘가 있는데 이 묘에 비석이 있음으로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여주 이씨 가..
가장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修德寺 大雄殿)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2길 79, 수덕사(사천리)에 위치한 대웅전(大雄殿)은 고려시대인 1308년(충렬왕 34)에 조성된 건물로서, 연대가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나다. 1937년에서 1940년 사이 해체수리를 하면서 “至大元年戌申四月十..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불감(佛龕)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다. 다탑봉 골짜기에 자리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의 정상에..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운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윗층 기단의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和順 雲住寺 거북바위 五層石塔)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용강리 산8) 대한불교조계종 운주사에 위치한 이 탑은 거북바위라고 불리어지는 큰 암반 위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이탑의 양식은 같은 암반 위에 서 있는 칠층석탑과는 달리 신라 전형양식..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 (和順 雲住寺 龜岩交叉紋 七層石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에 위치한 운주사(雲住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의 말사로 운주사 경내에는 거북바위라 부르는 다소 경사진 암반을 완만하게 다듬어 지대석으로 삼고 그 위에 탑..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