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계룡산 신원사(大韓佛敎曹溪宗 鷄龍山 新元寺) 계룡산(鷄龍山) 남쪽에 위치한 신원사는 백제(百濟) 의자왕(義慈王) 11년(651)에 열반종(涅槃宗)의 개종조(開宗朝) 보덕화상(普德和尙)이 창건(創建)한 이래 고려(高麗) 태조(太祖) 23년(940)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법당(法堂)만..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 보물 제1293호 조선 태조 3년(1394년)에 태조 이성계의 왕명으로 무학대사께서 짓고 왕실의 기도처로 내려오다가 1651년(효종 2년)에 폐사되었으며, 1879년(고종 16년) 명성황후의 서원으로 재건되었으며, 신원사(神院寺)였던 이름을 대한제국의..
신원사 대웅전(新元寺 大雄殿)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신원사는 백제 의자왕 11년(651년)에 보덕이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 번 다시 지어졌고, 지금의 대웅전 건물은 고종 13년(1876년)에 보연(普延)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
신원사 오층석탑(新元寺 五層石塔)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신원사 오층석탑(新元寺 五層石塔)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이 탑은 이중 기단을 갖춘 5층 석탑이다. 신라 석탑의 전통을 이어받은 고려시대 탑인데 5층의 부분재료가 없어 졌다. 기단에 비하여 탑의 몸체가 둔해 보이..
계룡산국립공원(鷄龍山國立公園) 동학사계곡(東鶴寺溪谷) 계룡8경 가운데 제5경에 속하는 지역으로 동학사 서쪽 학바위 앞에서 관음봉 고개까지 길이 3.5㎞에 이른다. 예로부터 시인·묵객들이 찾아와 풍류와 정세를 논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또한 신록이 돋아나면 온 산에 생기를 약동시..
동학사 부도군(東鶴寺 浮屠群) 동학사 경내에는 많은 부도가 확인되고 있는데 관음암 앞 동학계곡 건너에는 산기슭을 따라 많은 부도가 있다. 조선시대에 설치된 것으로 보이며, 일부는 근.현대에 조성한 부도이다.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학봉리)
네안데르탈 인(Neanderthal 人)은 누구인가? 공주 석장리 박물관(손보기기념관)에서는 2018년 특별기획전으로 "네안데르탈인"을 2018.5.4부터 2019.2.28일까지 네안데르탈박물관과 독일 신베를린박물관에서 유물을 대여받아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네안데르탈(Neanderthal)인은 약 10만년 전~ 4만년 ..
충청감영 복원지(忠淸監營 復元地) 충청감영은 조선 초에 충주에 설치되었으나 선조 35년(1602) 충청도 관찰사 유근(柳根)의 건의로 공산성으로 이전되었다. 1653년 관찰사 강백년(姜栢年)이 봉황산 아래에 감영을 대대적으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자리 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