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
숭릉(崇陵) -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9. 11. 2. 04:00
숭릉(崇陵) - 조선 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 조선 제18대 현종(顯宗, 1641~1674, 재위1659~1674)과 그의 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1642~1683)가 안장되어 있는 숭릉은 동구릉에 네 번째로 조성된 왕릉이다. 현종 숭릉의 특이한 점은 숭릉 정자각에는 양쪽에 벽이 없는 익랑(翼廊)이라는 공간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런 양식을 가진 왕릉은 숭릉을 비롯하여 인경왕후 익릉, 장렬왕후 휘릉, 경종 의릉까지 4기가 있다. 이중 숭릉 정자각 지붕은 유일하게 화려한 팔작지붕이다. 또한, 숭릉 석물은 1659년 효종 영릉(寧陵)에서 사용하였던 석물을 다시 사용하였다. 효종 영릉은 본래 동구릉에 있다가 1673년(현종 14)에 경기도 여주시로 옮겼다. 그리고 그 전에 사용하였던 석물을 모두 묻..
-
건원릉(建元陵) - 조선 제1대 태조 이성계의 능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9. 11. 1. 22:30
건원릉(建元陵) -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능 조선 제1대 왕인 태조(太祖,1335~1408,재위1392~1398)는 함경도 영흥(永興)에서 태어났고, 1392년에 조선을 창건한 후 1408년에 돌아가셔서 이곳에 안장되었다. 태조 건원릉은 조선을 창업한 군주의 무덤답게 동구릉 중에서 유일하게 이수(螭首)와 귀부(龜趺)를 갖춘 대형 비석 2기가 세워져 있다. 본래 태조는 먼저 돌아가신 신덕왕후의 무덤인 정릉(貞陵)을 도성 안에 조성하면서 자신이 묻힐 터로 삼았으나, 태조의 아들인 태종이 이 지역에 건원릉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건원릉을 관리하기 위하여 재궁(齋宮)으로 개경사(開慶寺)를 세워 태조의 명복을 빌었다. 태조는 돌아가실 때 자신의 무덤에 고향에서 나는 억새(청완,靑薍)를 심으라는 유언을 남겼..
-
건원릉 억새 절정기 능침 특별 개방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19. 11. 1. 04:00
건원릉 억새 절정기 능침 특별 개방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는 가을 억새 절정기를 맞아 2019년 10월 19일부터 11월 17일까지 동구릉 내에 있는 건원릉(健元陵) 능침을 특별 개방했다. 조선왕릉의 능침(陵寢)은 문화재 보존관리 원칙에 따라 일반공개가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2018년 시범 개방해 호응을 얻었던 건원릉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다시 특별 개방하게 된 것이다. 능침(陵寢)이란 왕릉의 주인이 묻혀 있는 곳을 말한다. 건원릉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 1335~1408년)의 능으로,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봉분이 억새로 덮여 있다. 이는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건원릉 능침 특별개방은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