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봉정사 극락전(安東 鳳停寺 極樂殿) - 국보 제15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天燈山, 575.5m)은 원래 대망산(大望山)이라 불렀는데 능인대..
서울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한 전통사찰, 조계사(曹溪寺) 조계사 일주문(曹溪寺 一柱門) 일주문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통상적으로는 일주삼간(一柱三間)이라 하여 일렬로 세 개의 문을 갖는다. 이렇게 한 줄로 늘어놓은 이유는 일심(一心)을 상징하고자 했기 때..
월정사(月精寺) 수광전(壽光殿),무량수전(無量壽殿) 무량수전(無量壽殿)은 서방 극락정토의 교주 아미타불을 모신 곳으로 수광전(壽光殿), 극락전(極樂殿)이라고도 불린다. 월정사 무량수전은 상단에는 아미타부처님과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좌우에 모시고 , 뒤쪽으로 ..
직지사(直指寺) 안양루(安養樓)와 극락전(極樂殿) 경상북도 김천시 황악산(黃嶽山)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는 오랜 역사와 황악산의 절경 등으로 인해 사시사철 참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대표적 명찰이다.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한 아도 스..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사찰 당우(堂宇), 내장사 극락전(內藏寺 極樂殿)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신 전각으로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하며, 전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964년에 세워졌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인간의 가장 큰 고통인 죽음을 물리치고 영원한 생명을 주..
아담한 사찰 '비봉산 봉림사(飛鳳山 鳳林寺)' 경기도 화성시 주석로 80번길 139(북양동)에 소재한 비봉산 봉림사(飛鳳山 鳳林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로서, 멀리 서해를 바라보며 서있는 봉림사(鳳林寺)는 신라(新羅) 진덕여왕(眞德女王,647~653) 때 고구려..
고통과 번뇌가 없고 지극히 즐겁고 아름다운 곳, 백담사 극락보전 극락보전(極樂寶殿)에는 아미타부처님(阿彌陀佛)과 그분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혹은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모셔진다. 일찍이 아미타부처님이 법장비구로 수행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