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금강산 화암사(大韓佛敎曹溪宗 金剛山 禾巖寺)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로 769년(신라 혜공왕 5) 진표(眞表)가 창건하고 이름을 금강산 화엄사(華嚴寺)라 했다.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 금강산으로 들어온 진표는 금강산의 동쪽에는 발연사(鉢淵寺)를, ..
불로석상(不老石像) 불로석상(不老石像)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秦始皇, BC 259~210)이 삼신산(三神山)으로 불리는 한라산(漢拏山), 지리산(智異山), 금강산(金剛山)에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신선(神仙)이 먹고 사는 불로초(不老草)가 있음을 알고 서복(徐福)에게 구(求)해 오라고 명하였다. 서..
설악산 울산바위의 유래 설악산 울산바위의 유래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등에 걸쳐 있는 설악산의 외설악에 울산바위가 있다. 병풍같이 솟은 이 거대한 바위는 하나의 큰 산을 이루고 있는데, 동양에서는 가장 큰 돌산이라고 한다. 이 돌산은 사면이 절벽으로 되어 있고, 높..
금강산 가는 길, 금강산 전기철도교량(金剛山 電氣鐵道橋梁) 이 교량은 1926년 세워진 금강산 전기철도용 교량으로 철원역을 시발로 종착역인 내금강역까지 총 연장 116.6㎞, 1일 8회 운행하였고, 내금강까지는 4시간 반이 걸렸으며, 요금은 당시 쌀 한가마 값인 7월 56전으로 1936년 당시 이용..
금강산 건봉사 대웅전(金剛山 乾鳳寺 大雄殿) 520년(신라 법흥왕 7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원각사라 하였으며, 758년에 발진화상이 중건하고 정신, 양순스님등과 염불만일회를 베풀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염불만일회의 효시가 된다. 여기에 신도 1,820인이 참여하였는데, 그 중에서 120..
고성 건봉사 능파교(高城 乾鳳寺 凌波橋) 고성 건봉사 능파교(高城 乾鳳寺 凌波橋)는 고성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홍교(虹橋: 무지개 모양의 다리)로서, 규모는 폭 3m, 길이 14.3m,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사적기에 따르면 건봉사는 신라 법흥왕 7년(서기 520..
바라만 보아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신령스런 바위산, 금월봉(錦月峰) 바라만 보아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신령스런 바위산 금월봉(錦月峰). 금월봉(錦月峰)은 1993년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영월공장에서 시멘트 제조용 점토 채취장으로 사용되어 오던 중 기암괴석군(奇巖怪石群)이 발견..
고성 통일전망대(高城 統一展望臺)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江原道 高城郡 縣內面 明湖里) 북위38도 35분에 위치한 통일전망대 동해안의 최북단 명파 마을을 지나 민간인 출입 통제선 북쪽 10㎞ 지점인 높이 70m 능선에 세워져 있다. 분단조국의 상징적 시설인 동시에 통일 홍보교육의..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