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산사 나한전(金山寺 羅漢殿) 소승불교의 최고의 경지에 오른 나한에 대한 신앙을 하는 전각이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 Arhan)의 준말로서 의역하여 살적(殺賊),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 한다. 살적(殺賊)은 수행의 적인 모든 번뇌를 항복받아 죽였다는 뜻이며, 응공(應供)은 공..
금산사 보제루(金山寺 普濟樓) 금산사 보제루는 정면 9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목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2층의 누각으로 1층의 기둥은 8각형의 화강암 석재의 누하주(樓下柱)로 되어 있고 2층은 목재 두리기둥으로 되어 있다. 1층의 어칸과 협칸은 통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어칸..
김제 금산사 석등(金堤 金山寺 石燈) 법당 앞을 밝히는 등불로 인등(引燈), 장명등(長明燈)이라고도 한다. 금산사 대장전 앞뜰에 놓여 있는 높이 3.9m의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히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그 밑에 아래받침돌, 가운데기둥, 윗받침돌로 3단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
금산사 범종각(金山寺 梵鐘閣) 금산사 보제루(普濟樓)에 올라가 가람 중심의 서편에 있다. 또한,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을 중심으로 하여 볼때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범종각이 오른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불교의 체용설(體用設)에 입각하여 볼 때 오른쪽은 체(體), 왼쪽은 용(..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金堤 金山寺 五層石塔) 금산사 안의 북쪽에 송대(松臺)라고 불리는 높은 받침 위에 세워져 있는 탑이다. 바로 뒤에는 석종모양의 사리계단이 있는데, 이렇듯 사리계단 앞에 석탑을 세워놓은 것은 사리를 섬기던 당시 신앙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상·하 2단의 기단(..
금산사 천왕문(金山寺 天王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金山寺). 금산사 내소사의 천왕문은 사천왕상을 봉안하기 위한 건물로서 사찰 경내 출입문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천왕문은 1994년 가람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한 건물이다. 정면 3칸..
김제 금산사 대장전(金堤 金山寺 大藏殿) 미륵전의 정면 서쪽에 앞면과 옆면 각 3칸씩의 다포식 팔작지붕인 대장전(大藏殿)이 자리한다. 대장전은 원래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절을 중창하면서 세워졌다. 미륵전을 짓고 이를 장엄하는 정중목탑으로서 가운데에서 우측부분에 위치 하였으..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金堤 金山寺 幢竿支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 한다. 금산사 경내에 있는 이 당간지주는 높이 3.5m로 양쪽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