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릉 수복실 (莊陵 守僕室) 노산묘(魯山墓)는 1699년(숙종 24년) 장릉(莊陵)으로 추봉하고 1733년(영조 9년)에 세운것이다. 수복실(守僕室)은 능과 경내를 관리하던 능지기가 기거하던 곳이다.
비운의 어린왕이 잠든곳...영월 장릉 (사적 제196호)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21의 장릉(莊陵)은 조선 제6대왕인 단종(端宗)의 능이다. 단종은 세종23년(1441) 7월 23일, 동궁 자선당에서 문종과 현덕황후 권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홍위(弘暐)이며 세종30년(1448) 8세로 왕세손에 ..
장릉 배식단 (莊陵 配食壇) 영월 장릉에는 배식단(配食壇)과 배식단사(配食壇祠)가 있다. 배식단사는 정조 15년에 건립된 것으로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종친,환관,궁녀 등 34인을 합해 264인의 위패를 모셔놓은 곳이다. 배식단사 앞의 배식단(配食壇)은 매년 한식 때 이들을 위해 제..
배견정 (拜鵑亭)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장릉에 있는 배견정은 장릉(莊陵)에서 능선을 타고 남쪽으로 남하하던 거북이가 머리를 번쩍 들고 맑은 하늘을 바라 보는 것같은 형상을 한 언덕위에 네모진 아담한 정자를 배견정(拜鵑亭)이라 한다. 배견정은 낙화암에서 순절한 시녀들의 ..
박충원 정여각 (朴忠元 旌閭閣) 이 비각은 박충원의 충신 됨을 후세에 알리기 위하여 1972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忠臣) 박충원은 중종26년(1531년) 문과(文科)에 급제하였고 문경공(文景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영월군수로 부임하여 있을 때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있던 단종이 꿈에..
노산대 망향탑(魯山臺 望鄕塔) 망향탑은 청령포 서쪽 층암 절벽 위에 위치하고있다. 단종이 귀양살이할 때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근심속에서도 한양에 두고 온 정순왕후 송씨를 생각하며 이곳에 오를 때 마다 산 기슭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돌들을 주워 날라다 쌓아 올렸는데. 이것이 망향탑이 되..
단종의 애환이 서린곳, 청령포 단종어소(端宗御所) 단종어소는 1457년 6월 22일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대왕께서 왕위를 찬탈 당하고 노산군으로 강봉,유배되어 계셨던 곳으로, 당시 이곳에 단종대왕 거처인 어소가 있었으나 소실되었으나 최근 복원하여 관광객을 맞고있다.
조선국 단종대왕 장릉.....단종비각(端宗碑閣) 신도비(神道碑)는 노산묘(魯山墓)가 숙종 24년(1698년)에 장릉(莊陵)으로 추봉되고, 이듬해 능이 수축된 뒤 1733년 영조 9년에 세워진 것이다. 신도비의 앞면에는 조선국 단종대왕장릉(朝鮮國端宗大王莊陵)이라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단종의 생애를 아주 간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