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이다. 직지사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모셔져 있다. 신라시대 대웅전의 규모에 대해서는 미상이나 고려 이후 조선 초기, 적어도 정종대까지는 2층 5간의 특수한 건물이었..
안성 석남사 대웅전(安城 石南寺 大雄殿) 대한불교조계종 석남사는 신라 문무왕 20년(680)에 석선이 세우고, 고려 광종 4년(953)에 혜거국사가 중창하였다고 전해지는 유서 깊은 고찰이다. 조선 태종 7년(1407년)에는 국가에 복이 있기를 기원하는 절인 자복사(資福寺)로 지정 될 정도로 중요한..
서산 개심사 대웅전(瑞山 開心寺 大雄殿) 충남 서산의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 14년(654)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1941년 대웅전 해체 수리시 발견된 기록에 의해 조선 성종 15년(1484)에 고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은 고쳐 지을 당시의 모습을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음을 깨끗하게 씻고(洗心), 마음을 여는(開心) 곳, '상왕산 개심사(象王山 開心寺)'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에 위치한 상왕산 개심사(開心寺)는 상왕산(307m)의 울창한 숲속에 자리하고 있으며, 충남 4대 사찰 중의 하나다. 신라 진덕여왕 5년, 백제 의자왕 14년 혜감국사가 지었다고 되어..
덕숭산 수덕사(德崇山 修德寺)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의 아담한 기슭에 자리한 천년고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의 본사로, 창건이나 그 이후 역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없어 절의 연혁을 알 수 없으나,“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백제말 숭제법사(崇濟法師)가 ..
영남 제일의 호국충효 원찰, 용추사 대웅전(龍湫寺 大雄殿)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 위치한 용추사(龍湫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487년(신라 소지왕 9) 각연(覺然)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에는 용추암(龍湫庵)이라고 불렀다. 각연이 덕유산에 장수사(長水..
향일암 관음전 (向日庵 觀音殿) 전라남도 지방문화재 제40호인 향일암(向日庵)은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 산27번지 금오산(金鰲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금오산의 형상은 마치 거북이가 경전(經典)을 등에 지고 용궁으로 들어가는 모습과 같다고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