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 천연기념물 제537호 비들기낭 폭포- 천연기념물 제537호(2012. 9. 25 지정) '비둘기낭'이란 이름은 옛날부터 이곳 동굴과 암석이 갈라진 틈(절리라고 부름)에 멧비둘기들이 많이 서식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
제주 일출랜드 '미천굴(美千窟)' 미천굴은 제주도 15개 동굴군 중 삼달리(三澾里) 동굴군(洞窟群)의 대표 동굴이다. 아름다움이 1,000가지나 된다고 해서 아름다울 美, 일천 千을 합쳐 미천굴(美千窟)이 됐다. 미천굴 길이는 제1굴인 가지굴과 제2굴인 주굴을 합쳐 1700m다. 이중 가지굴인 365m만..
폐광의 기적을 이루다, 광명동굴(光明洞窟) “동굴(洞窟)”이라면 자연이 만든 천연동굴을 상상하겠지만 광명동굴은 사람이 만든 인공동굴로서 수도권에서는 유일하다. 1912년 일제가 자원수탈을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광명동굴(구.시흥광산)은 일제강점기 징용과 수탈의 현장이자 해..
온달동굴(천연기념물 제261호) 천연기념물 제261호인 온달동굴은 조선시대 문헌인 「신 동국여지승람(新 東國與地勝覽)」제14권 충청도 영춘현 고적조에는 남굴(南窟)이라 기록되어있고, 성산(成山) 아래 있어 성산굴(成山窟)이라고도 전해지고 있으나 온달장군이 쌓은 것으로 알려진 온달..
수도권 유일의 동굴관광지 "광명동굴(光明洞窟)" “동굴(洞窟)”이라면 자연이 만든 천연 동굴을 상상하겠지만 광명동굴은 사람이 만든 인공동굴로서 수도권에서는 유일하다. 1912년부터 1972년까지 일제강점기를 거쳐 노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광산개발은 7.8km의 갱도를 만들어 냈다. 규모 ..
아름다움을 간직한 미천굴(美千窟) - 제주 일출랜드 미천굴은 제주도 15개 동굴군 중 삼달리(三澾里) 동굴군(洞窟群)의 대표 동굴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 해발고도 88m에 위치해있다. 아름다움이 일천 가지나 된다고 해서 아름다울 美, 일천 千을 합쳐 미천굴(美千窟)..
지하의 아름다운 궁전, "하롱베이 천궁동굴(天宮洞窟,Thien Cung Dong)" 베트남 하롱베이의 천궁동굴(天宮洞窟)은 ‘하늘의 문’이란 의미로 지하의 궁전처럼 아름다움을 지닌 곳이다. 2만년전에 해수면 아래 석회암지대가 지하수의 작용으로 만들어졌는데, 동굴이 융기되어 해수면위로 올라..
중국 운남성 구향동굴의 비경(九鄕洞窟의 秘景) 구향동굴(九鄕洞窟:지우샹둥구)은 곤명(昆明)에서 석림을 가는 도중에 만나게 되는 여러 풍경구(風景區)들 중 하나이다. 석림(石林) 을 가다보면 구향풍경구(九鄕風景區)가 나오는데, 이곳에 바로 구향동굴(九鄕洞窟)이 있다. 구향동굴(九鄕..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