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桐華寺) 통일기원대전(統一祈願大殿) 동화사 통일기원대전은 1992년 노태우 대통령이 남북으로 분단된 민족의 통일을 염원하는 뜻에서 지은 지하 2층, 지상 3층의 건축물이다. 이곳 통일기원대전의 현판은 1992년 11월27일 통일대불 낙성식 때 노태우(盧泰愚) 前대통령이 동화사를 방..
동화사 영산전(桐華寺 靈山殿) 영산전(靈山殿)은 대웅전 동편 뒤 담장으로 둘러싸인 별채이다. 일명 나한전(羅漢殿) 또는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한다. 법당 안에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의 모습을 재현하여 석조 석가삼존불을 중심으로 십육나한상이 좌우로 앉아 있다. 영산(靈山)은 고대..
동화사 봉서루(桐華寺 鳳棲樓) 봉서루(鳳棲樓)는 '봉황이 깃든 누각' 이란 뜻으로 동화사를 대표하는 누각이다. 동화사의 가람 배치에서 봉서루는 불이문 또는 해탈문이라 부르는 중문에 해당한다. 네모난 돌기둥을 세워 누문을 만들고, 그 위에 정면 5칸의 목조 누각을 세운 독특한 건축..
인악대사(仁嶽大師) 나무 인악대사(1746~1796)의 俗姓(속성)은 李氏, 本貫(본관)은 星山(성산), 諱(휘)는 義沼(의소), 字(자)는 子宜(자의), 法號(법호)를 仁嶽(인악)이라 하였다. 고려 司空(사공) 星山府院君(성산부원군) 能一(능일)의 23世孫(세손)이며 父는 徽澄(휘징)이고 母(모)는 達成(달성) ..
동화사(桐華寺)의 사천왕문(四天王門), 옹호문(擁護門) 동화사 옹호문은 다른 사찰의 사천왕문과 같은 건물로 불법을 수호하고 악귀의 출입을 막아 사찰의 청정함을 유지하기 위해 세워진 건물로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 등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다. 전통사찰의 격을 높..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大邱 桐華寺 幢竿支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 한다. 높이 3.1m의 당간지주는 두 기둥이 66㎝의 간격..
동화사(桐華寺)의 상징, 심지대사(心地大師)나무 위치: 동화사 대웅전 뒤뜰 서편 수종: 오동나무(현삼과, Paulownia coreana Uyeki) 나무와 연관되는 인물: 심지대사(心地大師) 심지대사(心地大師)는 신라 제41대 헌덕왕(憲德王)의 아들로서 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어 불교에 정진하였으며, 팔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