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모두 소실되어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등을 인용하여 사적기(事蹟記)가 만들어졌는데, 금산사의 창건은 599년(백제 법왕 1)에 왕의 자복(自福)사찰로 세워진 것이라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지금까지 전하는 바는 진표(眞表)가 7..
금산사 미륵전(金山寺 彌勒殿) 모악산에 자리한 금산사는 백제 법왕 2년(600)에 지은 절로 신라 혜공왕 2년(766)에 진표율사가 다시 지었다. 미륵전은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조선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지은 뒤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거대한 미륵존불을 모신 법당으로..
금산사(金山寺) 방등계단(方等戒壇) 사리탑(舍利塔)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미륵전의 북쪽 높은 대지에 방등계단(方等戒壇)이 있다. 또한 이 계단의 중앙에 보물 제26호인 부도가 1기 있어 그 형태에 따라 석종형(石鐘形) 부도라고 부른다. 방등계단의 수계법회(受戒法會)를 거행할 때 수계..
금산사 대적광전(金山寺 大寂光殿) 대적광전은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하여 '화엄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고 해서 '비로전'이라고도 부른다...
금산사 적멸보궁(金山寺 寂滅寶宮) 이 법당(法堂)은 방등계단(方等戒壇)에 참배(參拜)하기 위하여 특별히 건립된 방등계단 예배전(禮拜殿)이다. 원래 나한전(羅漢殿)으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제화가라보살(提和竭羅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 그리고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제자(..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원통전(圓通殿)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殿閣)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팔작지붕을 올렸으며 내부에는 중안에 불단(佛壇)을 마련하고 최근에 조성한 42수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을 봉안하고 있다. 또한 보살상(菩薩像) 위에는..
금산사 보제루(金山寺 普濟樓) 금산사 보제루는 정면 9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목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2층의 누각으로 1층의 기둥은 8각형의 화강암 석재의 누하주(樓下柱)로 되어 있고 2층은 목재 두리기둥으로 되어 있다. 1층의 어칸과 협칸은 통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어칸..
김제 금산사 석등(金堤 金山寺 石燈) 법당 앞을 밝히는 등불로 인등(引燈), 장명등(長明燈)이라고도 한다. 금산사 대장전 앞뜰에 놓여 있는 높이 3.9m의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히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그 밑에 아래받침돌, 가운데기둥, 윗받침돌로 3단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