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흥사 천불전(大興寺 大興寺) - 전남유형문화재 제48호천불전은 과거, 현재, 미래에어느곳에나 항상 부처님이 계신다는 의미에서 천불을 모시고 있는 전각이다.즉, 언제 어느곳에서나 누구라도 성불할 수 있다는 대승불교 사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각이라고 할 수 있다.법당 중앙에는 목..
괴산 각연사 대웅전(槐山 覺淵寺 大雄殿) 이 건물은 석가여래좌상을 주존불(主尊佛)로 모시고 있는 불전(佛殿)으로, 정면 3칸,측면 2칸의 다포식 맞배지붕집이다. 이 사찰은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有一大師)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1768년(영조 44년)에 작성된 상량문에는 918년~975년 사이에 ..
산방산(山房山) 보문사(普聞寺) 산방산(山房山) 보문사(普聞寺)는 서귀포시의 산방산(山房山, 높이 395m) 초입(初入)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64년 김대현 스님이 약 16m²(5평) 남짓한 슬레이트 건물에 법당을 만들면서 창건되었고, 1969년 4월에 건물면적 82.64m²의 대웅보전(大雄寶殿)을 건립하..
산방사 보문사 오백아라한 아라한(阿羅漢)이란? ① 공양받아 마땅한 자 - 응공(應供)​ ② 공양으로 복을 심는 밭 - 복전(福田)​ ③ 진리에 상응하는 자 - 응진(應眞)​ ④ 나고 죽는 윤회에서 벗어난 자 - 불생(不生)​ ⑤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자리까지 올라 있는 수행의 경..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蔚珍 佛影寺 大雄寶殿)-보물 제 1201호) 대웅보전은 불영사의 중심법당으로 석가모니부처를 모신 전각이다. 이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기와집이다. 기단은 다듬은 돌을 허튼층 쌓기하였으나 가구식 기단과 유사하며, 건물 앞면에는 어칸..
울진 불영사 응진전(蔚珍 佛影寺 應眞殿) 불영사(佛影寺)는 신라 진덕여왕(新羅 眞德女王) 5년(65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세웠다고 전하는데,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조선 태조 5년(1396) 나..
깨달음의 나무 보리수(菩提樹), 보리자나무 안양 염불사(安養 念佛寺) 보리수(菩提樹)는 석가모니가 그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하여 “깨달음의 나무”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불교 이전 고대부터 이 나무를 “숲의 왕”이라 부르며 성스러운 나무로 숭배했다. 이곳 염..
직지사 응진전(直指寺 應眞殿) 응진전(應眞殿)은 고려 태조 14년(931)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창건 하였으나, 임진왜란에 전소되었던 것을 효종 7년(1656) 관음전으로 중건 하였다가 뒤에 응진전으로 개액 하였다. 이건물은 그 후 주지 녹원화상(綠園和尙)에 의하여 중수 되었는데, 이때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