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만상의 세중옛돌박물관 (世中石造博物館)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위치한 세중 박물관은 13개의 야외전시관과 1개의 실내전시관 등, 총 14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장품은 총 1만여 점으로 전국에서 발굴한 다양한 종류의 석조각품을 소장하고 있다. 왕릉과 사대부가의 ..
다양한 종류의 석조각품 전시장 세중옛돌박물관(世中石造博物館)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303-11에 위치한 세중옛돌박물관 http://www.stsmuseum.co.kr/ 은 18,180㎡ 정도 부지에 약 1만여 점의 전통 석물이 전시되어 있는 특수한 박물관이다. 옛 돌조각의 실물 전시를 통해 선인의 숨결..
새끼 가진 석양(石羊) 석양(石羊)은 문인석,무인석과 함께 무덤을 지키기 위하여 무덤 앞에 장식하는 석물(石物) 중의 하나로써 일찍이 중국의 전한(前漢)시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옛날 중국에서는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낼때, 흰털이 잘 나있으며 잡털이 하나도 섞이지 않은 깨끗한 양(..
악귀나 잡귀를 막기 위한 돌짐승(석수:石獸) 돌로만든 동물 모양의 상(像)으로, 좁게는 능묘 앞이나 무덤안에 놓아두는 석조 동물상을 가리킨다. 넓게는 무덤의 호석(護石)이나 석탑의 기반부 등에 놓여 잇거나 부조되어 있는 동물조각을 포함한다. 돌짐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 한(漢)..
돌로 만든 화로 .... 돌화로(石爐:석로) 화로(火爐)는 인류가 불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움집터에서 자주 발견되고 있다. 고구려(高句麗)에서는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화덕을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솥을 걸 수 있는 자리와 바람이 잘..
돌 -조병화- 돌은 말은 없으나 철학자에겐 철학으로 음악가에겐 음악으로 예술가에겐 예술로 종교가에겐 종교로 시인에겐 시로 삶, 그 존재의 진리로 있나니 아, 그렇게 돌은 천년, 만년,억년,수억년, 세월없이 놓여있는 그 자리에서 침묵으로,깊은 침묵으로 삶, 그 존재의 말로 있나니...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