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민물매운탕 전문점, ‘고향산천 매운탕’(순천 맛집) 구례구역에서 17번 국도 곡성방향으로 500여m 지점에 위치한 고향산천 매운탕. 참게, 쏘가리, 은어, 메기, 가물치, 눈치, 잉어, 송어, 민물장어를 이용한 매운탕은 얼큰하면서도 시원하다. 깔끔하고 정갈한 밑반찬 및 나물은 계절..
선암사 승선교(仙巖寺 昇仙橋) 및 홍예석(虹霓石) - 보물 제400호 선암사 승선교(仙巖寺 昇仙橋) - 보물 제400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화강암으로 만든 아름다운 아치형 석교이다. 계곡의 폭이 넓어 아치(虹霓) 또한 유달리 큰 편이다. 아랫부분에서부터 곡선을 그려 전체의 모양이 ..
순천 선암사 대웅전 및 삼층석탑 순천 선암사 대웅전(順天 仙巖寺 大雄殿) - 보물 제1311호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이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탔던 것을 현종 원년(1660)에 다시 지었고, 영조 42년(1766)에 또 화재를 만나 없어졌다가 순조 42년(1824)에 고쳐지어 오늘에 ..
선암사 삼인당(仙巖寺 三印塘) - 전라남도기념물 제45호 삼인당중수비 삼인당(三印塘) 옆 원숭이상 삼인당(三印塘) 옆에는 원숭이 한마리가 조각된 석물(石物)이 있다. 선암사의 액을 쫓는 영물(靈物)이다. 선암사(仙巖寺)의 삼무(三無) 중 하나는 다른 사찰과는 달리 사천왕문이 없다. 조계..
석구(石狗, Dog Statues) - 낙안읍성(樂安邑城) 낙안읍성(樂安邑城)의 동문, 낙풍루(樂豊樓) 낙안읍성의 동문인 낙풍루(樂豊樓)는 1834년(순조4) 성균관 진사 김호언이 사비 1,400량을 들여 중건하였다고 전하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문루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일..
읍성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 순천 낙안읍성 - 사적 제302호 낙안읍성(樂安邑城)의 유래(由來) 순천(예전 승주) 낙안읍성의 유래는 조선 태조 6년(1397)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왜구의 침입으로 이 고장 출신 김빈길 장군이 토성을 쌓은 것이 그 시초이다. 인조 4년(1626) 임경업 장군..
낙안읍성 우물(큰샘) 낙안읍성 우물(큰샘) 이 우물은 옛날 낙안군수(고을 수령)님이 드셨다 하여 큰샘이라 불리어 오고 있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낙안읍성(樂安邑城)이 행주형(行舟形)으로 성내(城內)에 깊은 우물을 파는 것을 금(禁)하였으며 낮은 곳에서 나오는 우물을 길러 쓰도록 하..
KORAIL 순천역(順天驛) 순천역(順天驛)은 경전선과 전라선이 합류·분기하는 역이다. 1930년 10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한 후, 1950년 7월 25일 역사(驛舍)가 소실되기도 했다. 전라선의 모든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부전역발 경전선 무궁화호와 광주송정발 경전선 무궁화..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