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단(試士壇) 도산서원(陶山書院) 앞 낙동강(洛東江) 건너편 비각(碑閣)은 조선시대(朝鮮時代) 지방별과(地方別科)를 보았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정조대왕(正祖大王)께서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의 유덕(遺德)을 추모하여 정조 16년(1792년)에 관원(官員) 이만수(李晩秀)..
도산서원 상덕사 부 정문(陶山書院 尙德祠 附 正門) - 보물 제211호 도산서원(陶山書院) 제일 뒤쪽에 있는 상덕사(尙德祠)는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었고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수리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상..
도산서당(陶山書堂) 퇴계선생께서 4년에 걸쳐 지으신 건물로 몸소 거처하시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거처하시던 방은 "완락재(玩樂齋)"라 하고, 마루는 "암서헌(巖栖軒)"이라 하였다.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도산서원 내 = 암서헌(巖栖軒) 도산서당 건물 안에 ..
도산서원 광명실(陶山書院 光明室) 광명실은 서책을 보관하고 열람할 수 있는 오늘날의 도서관(藏書庫, 장서고)로서, 현판은 퇴계선생 친필이다. 진도문(進道門)을 가운데 두고 東, 西 두 곳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습해(濕害)를 방지하기 위해 누각(樓閣)으로 지었다. 광명(光明)은 "만권서..
도산서원 전교당(陶山書院 典敎堂) 서원(書院)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전교당(典敎堂)은 서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조선 선조 7년(1574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