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지역 남설악 오색천(주전골코스) 오색령에서 발원해 양양군 서면 오색리와 송천리를 지나 구룡령에서 발원한 후천과 만나는 오색천은 남대천 3대 지류 중에서는 가장 길이가 짧은 연장 14.5㎞의 하천이다. 주전골(鑄錢谷) 옛날에 강원 관찰사가 한계령을 넘다가 이곳을 지날 무렵, 어..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한계령휴게소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명산인 국립공원 설악산 횡단도로(44번 국도) 의 정상(해발 920m)에 위치한 한계령휴게소는 1979년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김수근과 류춘수가 설계했다. 설악산의 장엄한 절경을 조망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건축 개념이 포함됐..
오색령(五色嶺) - 한계령(寒溪嶺) 강원도 인제군과 양양군의 경계인 한계령(寒溪嶺). 이 고개의 본래 이름은 오색령(五色嶺)이다. 한계령(寒溪嶺)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간행된 사서나 지리지 등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계(寒溪)는 현재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마을명으로, 한계령은..
귀둔리에서 본 아름다운 한계령(옛오색령)길 강원도 인제군과 양양군의 경계인 한계령(寒溪嶺). 이 고개의 본래 이름은 오색령(五色嶺)이다. 한계령(寒溪嶺)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간행된 사서나 지리지 등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계(寒溪)는 현재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마을명으..
옛 오색령(五色嶺)과 한계령(寒溪嶺) 강원도 인제군과 양양군의 경계인 한계령(寒溪嶺). 이 고개의 본래 이름은 오색령(五色嶺)이다. 한계령(寒溪嶺)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간행된 사서나 지리지 등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계(寒溪)는 현재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마을명으로, 한계..
베짜는 여자(필녀:匹女)에서 유래 된 "은비령(隱秘嶺) 필례약수"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에서 한계령 방면으로 약 11㎞ 떨어져 작은 개울가 성황당 옆의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있는 필례약수는 1930년경 발견되었지만 인근의 오색약수 등의 명성에 가려져 있다가 주변 도로가 다듬어지면서 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