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의선사 생가(草衣禪師 生家) 초의선사(1786~1866) 생가는 당시를 상상하여 지었다. 선사의 시(詩) 귀고향(歸故鄕)에 따르면 생가는 이미 생전에 폐허가 되었고, 가까운 형제의 후손들이 남아 있었다. 복원된 생가는 전형적인 시골 마을의 초간삼간이다. 선사는 열다섯 살 때까지 이곳에 살..
왕산허위선생기념관(旺山許蔿先生記念館) 13도창의군 의병대장(十三道倡義軍 義兵大將) 왕산허위선생상(旺山許蔿先生像) 왕산 허위선생(旺山 許蔿先生) 구한국 때의 의병장(義兵長). 경북 선산(善山) 출생. 호 왕산(旺山). 유가명문(儒家名門)에서 태어나 7세 때 시를 지을 줄 알고 16세 때 ..
왕산 허위선생 묘(旺山 許蔿先生 墓) 십삼도의병총대장 순국의사 왕산허위지묘(十三道義兵總大將 殉國義士 旺山許蔿之墓) 왕산 허위선생 묘소 안내비 유구한 반만년의 역사가 안팎의 온갖 시련을 헤치고 길이 이어져 온 것은 바르고 굳센 민족정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대한제국이 일본..
왕산 허위선생 유허비(旺山 許蔿先生 遺墟碑) 허위(許蔿, 1855~1908) 선생은 구미시 임은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왕산(旺山)이다. 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의병을 일으킨 의병장(義兵將)이다. 을미년(1895년) 일제가 궁궐을 침입하여 황후를 살해한 을미사변(乙未事..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