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원통전전사자탑(華嚴寺圓通殿前獅子塔) - 보물 제300호화엄사(華嚴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을 널리 알리던 절로,창건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승려들이 이곳에 머물면서 화엄사상의 구현을 이루어 왔다.신라 후기에는 승려 도선(道詵)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고,..
직지사 관음전(直指寺 觀音殿) 관음전(觀音殿)은 원통전이라고도 하는데, 1978년에 주지 녹원스님이 중창하였다. 팔작지붕에 앞면과 옆면 3칸씩의 규모를 하고 있으며 안에는 금동 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였다. 관음전은 사찰에서 관세음보살을 주불(主佛)로 모신 불전을 말하는데, 수많은..
금산사 원통전(金山寺 圓通殿) 원통전(圓通殿)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殿閣)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팔작지붕을 올렸으며 내부에는 중안에 불단(佛壇)을 마련하고 최근에 조성한 42수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을 봉안하고 있다. 또한 보살상(菩薩像) 위에는..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미래에 오실 미륵불을 모신곳, 당래선원(當來禪院) 미륵산은 경상남도 통영 시가지와 연육상태인 미륵도에 있는 해발 461m로 우뚝 솟은 산이다. 미륵도는 통영만 남쪽의 섬이지만 면적은 시가지 중심을 이루는 육지보다 오히려 더 넓다. 육지와 미륵도 사..
향일암 관음전 (向日庵 觀音殿) 전라남도 지방문화재 제40호인 향일암(向日庵)은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 산27번지 금오산(金鰲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금오산의 형상은 마치 거북이가 경전(經典)을 등에 지고 용궁으로 들어가는 모습과 같다고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