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와 사직에 해당하는 남한산성행궁 좌전(南漢山城行宮 左殿) 남한산성행궁은 다른 행궁과는 달리 위폐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해당하는 좌전(左殿)이 있다. 좌전 권역은 유사시에 서울 종묘에 모신 역대 임금의 신주를 옮겨 보관하도록 한 공간으..
경희궁 숭정전(慶熙宮 崇政殿) 이 건물은 경희궁의 정전(正殿)으로서 광해군 8년(1616)경에 건립되었다. 숭정전은 임금이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고 정령(政令)을 반포하던 곳인 만큼 남향으로 놓였으며, 경희궁 내에서 가장 크고 화려하게 지어진 장엄한 건물이었다. 건물주변에 4개의 ..
이성계(李成桂)의 영정(影幀)을 봉안(奉安)한 곳,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 전북 전주시 풍남동의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은 조선(朝鮮) 이태조(李太祖)의 영정(影幀)을 봉안(奉安)한 곳이다. 전주(全州)는 원래 조선왕조의 시조인 신라(新羅) 사공(司空) 이한공(李翰公)의 발상지(發祥地..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모신 곳,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풍남동)에 위치한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은 조선 왕조를 개국시킨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어진(御眞)을 봉안한 곳이다. 태조 어진을 모신 곳을 어용전, 태조진전 등으로 명명하..
기습작전을 목적으로 한 "철원 제2땅굴" 입구에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북쪽13km에 위치한 제2땅굴은 1975년 3월19일에 발견되었다. 비무장지대(DMZ)안에서 발견된 이 땅굴은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킬 수 있는 광장까지 갖추어 놓았고, 출구는 세 갈래로 분산시켜 놓았다. 이 땅굴은 너비 2.1m..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