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松江 鄭澈) 가사(歌辭)의 터(址) 표석(標石) 문화관광부에서 1991년 2월을 송강 정철의 달로 정하고 우리나라의 가사문학에 커다란 업적을 남긴 송강 정철을 기념하는 표석을 2개소에 세웠다. 하나는 관동별곡에 나오는 관동팔경의 하나인 삼척 죽서루 경내이고, 다른 하나는 성산..
한국가사문학관(韓國歌詞文學館) 전라남도 담양군은 독수정, 식영정 등 이름난 누와 정을 중심으로 주옥같은 시문이 창작된 오랜 문학의 전통을 지닌 고장이다. 대쪽같이 올곧은 선비정신을 이어 받은 사림들이 불합리하고 모순된 현실정치에서 물러나 담양에 누정을 짓고 수신과 후진..
피리부는 목동 淸江(청강) 綠草邊(녹초변)의 쇼 머기는 아해들이 夕陽(석양)의 어위 계워 短笛(단적)을 빗기부니 맑은 강 푸른풀밭 소먹이는 아이들의 흥취에 겨워서 피리를 빗겨부니 송강 정철의 가사 성산별곡(星山別曲)에서 = 전남 담양군 남면 가사문학로 877 (지곡리) 한국가사문학관 =..
광한루원 영주각(廣寒樓苑 瀛洲閣)영주각은 광한루원내 신성사상 배경의 정원으로 가꾸기 위해 축조된 상징적 누각으로서 "용성지"에 누정편에 보면 "전라관찰사 정철이 요천에서 끌어 온 물이 누앞을 좁다랗게 흐르고 있던 개울을 넓혀서 평호로 하고은하수를 상징케 했으며 주위를 석..
선비들이 자연을 벗 삼아 향연을 열었던 곳...죽서루(竹西樓) 이 누각은 창건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동인거사집(動安居士集)에 의하면, 1266년(고려 원종 7)에 이승휴(李承休)가 안집사(安集使) 진자후(陣子侯)와 같이 서루(西樓)에 올라 시(詩)를 지었다는 것을 근거로 1266년 이전에 창건된 ..
옛 오색령(五色嶺)과 한계령(寒溪嶺) 강원도 인제군과 양양군의 경계인 한계령(寒溪嶺). 이 고개의 본래 이름은 오색령(五色嶺)이다. 한계령(寒溪嶺)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간행된 사서나 지리지 등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계(寒溪)는 현재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마을명으로, 한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