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목역사관(濟州牧歷史館) 300년전 제주의 오랜 발자취를 더듬어 보는 역사체험 전시 공간으로 제1전시실에는 제주목의 역사적 변천사와 발굴 및 출토유물, 제2전시실에는 부임목사의 생활상 및 행렬도, 제3전시실에는 제주읍성내 주요건물 및 변천사 등 당시 제주목의 생활상과 역사를..
수령이하개하마(守令以下皆下馬) - 제주목관아 입구 진해루앞 하마비 옛날 왕족이나 문무양반 등 신분이 높은 사람들은 외출할 때 주로 말을 타고 다녔다. 일반인들은 성문 안에서 말을 타는 것이 금지됐을 만큼 성내 승마는 일부 계층의 특권이었다. 그러나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
제주목관아 비석군(濟州牧官衙 碑石群)과 주춧돌 제주목관아에는 조선시대 비석군이 있다. 가장 오랜 비석으로 1706년 윤구동 목사의 선정비이며 조선후기 1890년대 비석까지 모두 12기다. 그 중 가장 특색 있는 비석은 대원군 형이신 이최응 영의정 비다. 년 고종 14년 정축년, 1878년 고종 15..
제주목관아 영주협당(濟州牧官衙 瀛洲協堂) - 사적 제380호영주협당은 원래 군관(軍官)들이 근무하던 관청(官廳)이었다.창건년대(創建年代)는 확실하지 않으나 예전의 군관청(軍官廳)이 영·목(營·牧) 소속으로 분리될 때 영군관청(營軍官廳)이 되었다. 군관의 수는 원래 15人이 있으나 효..
제주목관아 귤림당(濟州牧官衙 橘林堂) - 사적 제380호귤림당(橘林堂)은 거문고를 타고 바둑을 두거나 시(詩)를 지으며 술을 마시는 장소로 이용되던 곳이다.이원조(李源祚) 목사의 '귤림당중수기(橘林堂重修記)'에 의하면, "이 땅에 귤명(橘名)으로 된 국과원(國果園)이 모두 36곳인데,홀로 ..
제주목관아 우련당(濟州牧官衙 友蓮堂) - 사적 제380호우련당(友蓮堂)은 1526년(중종 21)에 이수동(李壽童) 목사가 성(城) 안에 우물이 없으면적(敵)이 침입하여 성(城)을 포위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구급(救急)하기 어렵다 하여,못을 파고 물을 가두어 연꽃을 심은 뒤 그 곳에 세웠던 정..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