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문화유산 달력(펜화로 보는 한국의 누각과 정자) 삶과 멋 낭만이 숨쉬는 누각과 정자는 오래전 삼국 시대부터 우리 조상들의 멋과 전통 속에서 맥락을 이어 온 과정에서 형성된 아름다움의 표상이며 문화적 가치관을 지닌 훌륭한 건축물이다. 김영택 화백은 0.05mm의 가는 펜으로 전통 ..
정조대왕능행차(노량진 배다리행사 재현) -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장조)가 뒤주 속에서 세상을 떠난 후 1776년 25세에 왕위에 올랐다. 정조는 24년의 재위기간 동안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지금의 화성 융릉인 현륭원으로 옮긴 후 아버지를 참배하..
창덕궁 연경당 선향재(昌德宮 演慶堂 善香齋) 창덕궁 연경당 선향재(昌德宮 演慶堂 善香齋) 창덕궁 후원에 사대부 살림집을 본 떠 만든 연경당(演慶堂)이라는 품위있는 집 한 채가 있다. 99칸 크기로 규모가 제한되었던 민가와 달리 120칸이나 되는 이 집 사랑채 한 쪽 켠에는 서재로 쓰였다..
창덕궁 연경당(昌德宮 演慶堂) - 보물 제1770호 창덕궁 연경당(昌德宮 演慶堂) - 보물 제1770호 사대부 살림집을 본뜬 조선 후기 접견실 연경당은 효명세자(孝明世子)가 아버지 순조(純祖)에게 진작례(進爵禮)를 올리기 1828년(순조 28)경에 창건했다. 진작례란 신하들이 왕과 왕비에게 술과 음..
창덕궁 태극정(昌德宮 太極亭) 창덕궁 태극정(昌德宮 太極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의치한 정자로 굴다리를 엮은 정, 측면 1칸의 겹처마 사각 지붕 형식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 마루를 깔고 퇴를 달아 평난간을 둘렀다. 천정은 우물천정이고, 지붕 꼭대기는 절병통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창덕궁 농산정(昌德宮 籠山亭) 창덕궁 농산정(昌德宮 籠山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위치한 정자로 정면 5칸, 측면 1칸 규모의 직사각형 모양이며 두벌장대의 낮은 기단 위에 돌초석을 놓고 사각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엮은 홑처마, 맞배지붕을 올렸다. 대청 2칸, 온돌방 2칸, 부엌 1칸으로..
창덕궁 청의정(昌德宮 淸義亭) 창덕궁 청의정(昌德宮 淸義亭) 창덕궁 후원의 옥류천에 위치한 정자이며 정, 측면 1칸으로 궁궐에서 유일하게 팔각의 초가 지붕을 하고 있다. 익공계 사모형식을 하고 있으며 1636년(인조 14)에 세워졌다. 정자 앞으로 논을 만들어 벼를 심고, 수확 후에는 볏집..
옥류천(玉流川)의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즐기던 곳, 창덕궁 소요정(昌德宮 逍遙亭) 옥류천(玉流川)의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즐기던 곳, 창덕궁 소요정(昌德宮 逍遙亭)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에 옥류천 폭포가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소요정(逍遙亭)이 자리하고 있다. 1636년 인조 14년에 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