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浮石寺)의 유래 浮石(부석) 신라 문무왕 1년(661)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가 화엄학(華嚴學)을 공부하기 위해 당나라에 갔을 때 의상대사를 연모한 선묘(善妙)라는 여인이 있었다. 의상대사는 중국 장안에 있는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의 지엄삼장(智嚴三藏, 602~668)에게서 1..
봉화 달실마을 (奉化 酉谷마을, 닭실마을)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酉谷里)에 위치한 우리나라 전통마을 중의 한 곳으로 사적 및 명승 제3호로 지정된 ‘내성유곡권충재관계유적’이다. 이 마을은 약 500여 년 전, 조선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충재(沖齋) 권벌(權橃, 1478~1548)선..
거북모양의 너럭바위 위에 세운 청암정(靑巖亭) 경북 봉화에는 청암정이라는 빼어난 정자가 있다. 머리와 다리 그리고 꼬리까지 완연한 거대한 거북바위 위에 올라탄 정자인데, 처음 이 정자를 지었을 때에 마을에 궂은 일이 많았다고 한다. 그 원인을 찾아보니, 거북이 물이 없는 맨땅 위..
천년고찰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태화산(泰華山)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本寺)이다. 이곳의 물과 산의 형세는 태극형이라고 하여 "택리지(擇里志)" "정감록(鄭鑑錄)" 등의 여러 비기(祕記)에서는 전란을 피할 수 ..
옛 오색령(五色嶺)과 한계령(寒溪嶺) 강원도 인제군과 양양군의 경계인 한계령(寒溪嶺). 이 고개의 본래 이름은 오색령(五色嶺)이다. 한계령(寒溪嶺)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간행된 사서나 지리지 등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계(寒溪)는 현재 인제군 북면 한계리의 마을명으로, 한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