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어사 대웅전(吾魚寺 大雄殿)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88호 이 건물은 신라 진평왕때 처음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오어사는 원래 "항사사(恒沙寺)"라 불리었다고 한다.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와 혜공(惠空)이 수도를 하다가 법력으로 개천의 고기를 생환토록하는 시합을 하였는데, 두마..
오어지 출렁다리, 운제산 원효교(雲梯山 元曉橋) 운제산(雲梯山) 자락에 위치한 오어지(吾魚池) "원효교(元曉橋)"는 일명 "출렁다리"라고 부르며, 오어사에서 원효암 방면으로 가는 둘레길을 연결하기 위해 오어지를 가로지르는 현수교(懸垂橋)이다. 현수교 전체길이는 118.8m이고, 폭 2m, 주..
전설 같은 이야기가 있는 “오어지(吾魚池)” 약 200년 전 어느 날. 수원김씨 문중의 한 어른이 꿈을 꾼다. 하천에 눈이 내리는데, 수로의 모습이 삼 줄기 같더라는 것. 현몽이라 생각한 어른은 마을 사람들과 협의해 하천을 가로지르는 물길을 만들고자 했다. 가래와 삽을 든 연인원 1만명..
호미곶(虎尾串) 호미곶은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읍, 동해면, 호미곶면에 속하며, 서쪽은 영일만 장기반도의 끝에 있는 곶으로 동해에 접한다. 별칭으로 동외곶(冬外串), 장기곶(長鬐串)으로도 불린다. 공개산(孔開山, 214.6m)이 주봉을 이루는 산계(山系)가 동북 방향으로 이어져 북동부..
국립등대박물관(國立燈臺博物館) 등대는 해상교통안전과 근대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시간이 흐름에따라 등대관련시설과 용품들이 사라져가고 있어 이를 유물로 영구히 보존하여 항로표지 역사발전과 국민들에게 바다사랑을 함양하기 위하여 1985년 2월7일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
내연산 보경사(內延山 寶鏡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이다. 진평왕(眞平王) 25년(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은 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있을 때 어떤 도인으로부..
포항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보물 제1868호 적광전(寂光殿)은 조선 숙종 3년(1677년)에 중창(重創)된 것으로 추정되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좌우에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삼존불(三尊佛)을 모신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 건물이다.​..
포항 보경사 대웅전(浦項 寶鏡寺 大雄殿) 보경사 대웅전은 조선후기 목조불전(木造佛殿)으로 정면3칸,측면2칸인 다포계(多包系)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위에 자연방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운다음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둘렀다. 평방 위에는 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