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희문(光熙門) 광희문은 1396년(태조 5) 한양도성 축성 때 건축되었다. 1711년(숙종 37)에 고쳐 쌓았으며, 1719년(숙종 45)에 석축 위에 문루를 짓고 ‘光熙門’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문 이름은 ‘광명의 문’을 의미하나 개천 수구(水口)에 가까운 곳에 있어 수구문(水口門)이라 불렀으며, 도..
서울 한양도성 창의문(彰義門) - 사적 제10호 서울 한양도성 창의문(彰義門) - 사적 제10호 서울성곽에는 동서남북에 4대문(四大門), 그 사이에 4소문(四小門)을 두었는데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北小門)으로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는 뜻이 있다. 그러나 창의문은 ..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과 남산 봉수대(南山 烽燧臺)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 - 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1396년(태조 5년)에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
서울 한양도성 순성길(혜화문~낙산공원) 서울 한양도성 순성길 한양도성을 따라 걷는 순성길은 서울의 내사산(백악산, 낙산, 남산, 인왕산)을 잇고, 사대문(숭례문, 흥인지문, 숙정문, 돈의문 터)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유산을 지나는 총 18.6km의 역사와 문화 체험의 길이다. 서울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 (북악산구간) 창의문 - 창의문 안내소 - 돌고래쉼터 - 백악쉼터 - 백악마루 - 1.21사태 소나무 - 청운대 - 백악곡성 - 백악 촛대바위 - 숙정문 - 말바위 안내소 - 와룡공원 창의문(彰義門) 지정번호: 사적 제10호(서울 한양도성) 시대:1396년(태조 5) 창의문은 인왕산과 백악산이 만..
한양도성박물관(漢陽都城博物館) 한양도성(漢陽都城) 한양도성은 조선왕조가 한양에 새 도읍지를 정한 1394년부터 쌓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600여 년간 지속적으로 보수, 관리되어 온 성이다. 전체 길이는 13.627km, 성벽의 높이는 5~8m이다. 성벽은 백악, 낙타(낙산), 목멱(남산), 인왕..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사적 제10호 서울 한양도성은 서울의 주위를 에어 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으로, 도성의 둘레는 약 18㎞이다. 흥인지문과 숭례문 등의 성문과 암문(暗門), 수문(水門), 여장(女墻), 옹성(甕城) 등에 방어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양도..
이간수문(二間水門) 이간수문(二間水門) 이간수문(二間水門)은 오간수문(五間水門) 남쪽에 낸 두 칸짜리 수문이다. 남산에서 흘러내리다가 도성 밖에서 개천 본류와 합류하는 물길을 위해 낸 문으로 오간수문과 같은 모양으로 축조되었다. 1925년 경성운동장을 건설할 때 수문의 석재를 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