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리 석불입상(大橋里 石佛立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0호 대교리 석불입상(大橋里 石佛立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0호 이 불상은 미래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불(彌勒佛)로 짐작된다. 광경사(廣景寺) 터의 미륵불 이라고 부르고 있어서 이곳에 위치한 고려시대 광..
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 - 사적 제231호 홍화문(洪化門) 홍화문은 홍주성의 남문이다. 본래 홍주성은 4개의 관문으로 문이 있었으나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3문으로 바뀌었다. 1870년 고지도에는 남문의 존재가 확인된다. 이는 남문 주변에 송림을 만들어 풍수지리상 나쁜 기운을 막으..
백야기념관(白冶紀念館) - 독립유공자 김좌진장군 기념관 독립유공자 김좌진 장군 기념관(백야기념관) 백야기념관(白冶紀念館) 김좌진 장군 흉상 명문가(名文家)의 일원 김좌진(金佐鎭)의 가문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 김좌진의 가문인 신 안동 김씨는 신라말 고창의 성주로 있다가 고..
김좌진장군 사당(金佐鎭將軍 祠堂) 백야사정비(白冶祠庭碑) "할 일이..... 할 일이 너무도 많은 이 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 중국 북만주 산시역 부근 정미소에서 공산당원이 쏜 흉탄을 맞고 운명하시기 직전 장군의 말씀 중에서 화룡문(和龍門) 와룡재(臥龍齋) 청산..
천주교 홍성 홍주순교성지(天主敎 洪城 洪州殉敎聖地) 홍주순교성지 생매장터 천주교순례길 - 내포문화 숲길 홍주 천주교 순교성지 비문 이곳은 1792년 충청 최초의 천주교 순교이후 병인박해까지 212명이 피어올린 순교의 꽃이 향기를 품어 견실한 열매를 위한 자양과 순정한 진리로 오늘..
성삼문선생유허지(成三問先生遺墟址) - 충청남도 기념물 제5호 성삼문 선생의 외가가 있던 곳으로 그가 태어난 집터이다. 성삼문은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세종(재위 1418∼1450) 때 집현전의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
홍주성지순례길(洪州聖地巡禮길), 홍주읍성 감옥터 형구(刑具) 형구는 죄인에게 구속, 고문 등 형벌을 가하는데 사용하는 일체의 기구를 말하는데, 형벌의 경중에 따라 여러 기구가 사용되었으며, 가(枷-나무칼), 수갑(手枷), 족쇄. 곤장(棍杖). 태(笞)와 장(杖), 오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천주교 홍성성당(홍주 순교자기념성당) 홍성성당(洪城聖堂)은 1950년 예산본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성당으로, 한국 천주교회의 신앙이 급속히 퍼진 내포(內浦)지역에 속하며 충청도에서는 공주에 버금가는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지역이다. 홍성지역은 병인박해로 신앙 공동체가 모두 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