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리 석불입상(大橋里 石佛立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0호 대교리 석불입상(大橋里 石佛立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0호 이 불상은 미래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불(彌勒佛)로 짐작된다. 광경사(廣景寺) 터의 미륵불 이라고 부르고 있어서 이곳에 위치한 고려시대 광..
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 - 사적 제231호 홍화문(洪化門) 홍화문은 홍주성의 남문이다. 본래 홍주성은 4개의 관문으로 문이 있었으나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3문으로 바뀌었다. 1870년 고지도에는 남문의 존재가 확인된다. 이는 남문 주변에 송림을 만들어 풍수지리상 나쁜 기운을 막으..
천주교 홍성 홍주순교성지(天主敎 洪城 洪州殉敎聖地) 홍주순교성지 생매장터 천주교순례길 - 내포문화 숲길 홍주 천주교 순교성지 비문 이곳은 1792년 충청 최초의 천주교 순교이후 병인박해까지 212명이 피어올린 순교의 꽃이 향기를 품어 견실한 열매를 위한 자양과 순정한 진리로 오늘..
홍주성지순례길(洪州聖地巡禮길), 홍주읍성 감옥터 형구(刑具) 형구는 죄인에게 구속, 고문 등 형벌을 가하는데 사용하는 일체의 기구를 말하는데, 형벌의 경중에 따라 여러 기구가 사용되었으며, 가(枷-나무칼), 수갑(手枷), 족쇄. 곤장(棍杖). 태(笞)와 장(杖), 오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천주교 홍성성당(홍주 순교자기념성당) 홍성성당(洪城聖堂)은 1950년 예산본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성당으로, 한국 천주교회의 신앙이 급속히 퍼진 내포(內浦)지역에 속하며 충청도에서는 공주에 버금가는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지역이다. 홍성지역은 병인박해로 신앙 공동체가 모두 흩..
홍주의사총(洪州義士塚) - 사적 제431호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후 전국적으로 일어났던 의병들의 항일구국운동 가운데 규모가 크고 가장 치열한 항쟁을 벌였던 홍주읍성 전투에서 희생된 유해를 모신 묘소이다. 1906년 3월 이조참판을 지낸 민종식을 중심으로 한 홍주의병은 홍주읍성..
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 여하정(余何亭) - 사적 제231호 여하정은 안회당(安懷堂)의 뒤뜰에 있는 작은 연못에 세워진 정자이다. 1896년(고종 33) 이승우(李勝宇) 관찰사가 옛 청수정(淸水亭) 자리에 세운 것이다. 이곳에서 역대 홍주목사(洪州牧使)들이 관아(官衙) 일을 보다가 휴식을 취..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洪城 五官里 幢竿支柱) - 보물 제538호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洪城 五官里 幢竿支柱) - 보물 제538호 절(사찰)에서는 불교의식이 있을 때,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