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해 한용운(卍海 韓龍雲) 선생을 뵈려 백담사(百潭寺)를 찾았다..국내 나들이/사찰(寺刹), 불교(佛敎) 2008. 10. 23. 05:11
만해 한용운(卍海 韓龍雲) 선생을 뵈려 백담사(百潭寺)를 찾았다.
만해 기념관 앞뜰에는 만해 스님 흉상을 조성 해 놓았다.
만해 한용운 선생의 시비
나룻배와 행인 - 한용운 -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보지도 않고 가십니다 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 갑니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시인은 자신을 나룻배로, 행인을 (부처 또는 민족을 상징)당신으로 비유한다.
비유적으로 자신이 처한 현실이 나룻배라는 사물로 옮기워져 나라 잃은 고통과 고난이라는 현실을 표현한 것이다.
작자 자신을 나룻배로 비유했고, 암울하고 희망이 없는 현실 속에서도 무엇인가를 기다린다는 삶의 통찰이 들어있다.
완전히 희망을 버리지 않고 그속에서도 삶을 영위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나룻배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주제를 비유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으며, 특별한 기교 없이 평범하고 쉬운
우리 말로 정감의 절실한 깊이를 노래한 시(詩) 이다.
1997년 11월 9일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백담사 내에 개관하였다.
한용운이 불교 개혁의 기치를 내걸고 저술한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 원전을 비롯해, 《세계지리》·《영환지략》·《음빙실문집》 등의 책,
한용운의 유묵과 시집 《님의 침묵》 초간본·각종 판본,
1962년 수여된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한용운 연구논문 등이 전시되어 있다.
만해의 출가와 수행, 3·1운동과 옥중투쟁, 계몽활동, 문학활동, 신간회활동 등을분야별로 나누어 한눈에 만해의 일생을 볼 수 있도록 꾸며놓았다.
기념관 밖에는 만해의 시 〈나룻배와 행인〉이 조각된 만해시비와 만해두상 조각이 있으며,
백담사 내에는 만해당·만해적선당·만해교육관 등 만해 관련 건물이 들어서 있다.
백담사 경내에서 별채로 쓰고 있는 만해당(萬海堂)은 3.1독립운동때 33인 투사중의 한분으로
민족인이며 불교계의 선구자인 만해 한용운이 '불교유신론'과 '님의침묵'을 집필했던 곳이다.
백담사 사찰 경내에 위치한 만해기념관은 일제 당시 민족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만해 한용운의 정신을 기리고자 대한불교 조계종인 백담사측에서 설립했다
백담사 일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극락보전이 보이고 좌·우로 화엄실과 법화실이 보이며,
일주문에서 우측으로 보면 'ㄱ' 자형의 전통 한옥을 만나게 되는데 이 건물이 바로 만해기념관이다.
만해기념관은 만해 한용운 선생의 민족사랑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95년에 2년 6개월 만에 완공됐다.
지하 1층, 지상 1층 110평 규모로 모두 8백여 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와 함께 기념관 내부 한편에 만해 스님의 일대기를 비디오로 상영하고 있고,
만해 스님을 기리는 후학들이 만든 조각품 초상화 등도 선보이고 있다.
만해기념관 내부에는 만해 한용운이 백담사에서 불교 개혁의 가치를 들었던
<조선불교 유신론>과 <불교대전>의 원전을 대하게 된다. 만해 불교정신의 산실임을 입증하는 자료이다.
그리고 세계지리와 서양철학을 접했던 <영환지략>과<음빙실문집>도 만나게 된다.
기념관 내부에는 만해 생전의 유물과 초관본, 백여 종의 판본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3·1독립운동시 민족의 자존심과 맹렬한 독립론을 전개한 만해의 옥중 투쟁을 보여주는 자료들도 정리되어 있다.
1962년 정부가 추서한 대한민국 건국공로 최고훈장인 대한민국장이 전시되어 있으며
한용운 관련 석 박사 논물을 비롯하여 일반자료들이 정리되어있다.
또한 기념관 지하 전시장에는 만해 개인이 아닌 불교의 유물 유품이 전시되어있는데
조계종 종정 월하스님의 글 중광스님의 글과 심우도 10폭 병풍 등이 눈길을 끈다.
만해기념관 소장유물
1. 대한민국장(훈기번호 제25호) 2. 한용운의 생가 3. 만해사 전경 4. 만해 한용운의 동상
5. 백담사,오세암,건봉사 그리고 건봉사 본말사적 6. 백담사 원경 7. 백담사 일주문 8 영환지략
9. 음빙실문집 0. 출가 시절 만해 한용운 사진 1. 조선불교 유신론 12. 불교한문독본 13. 불교대전
14. 정선강의 채근담 15. 오도송 16. "유심"잡지 창간호 제1~3호 17. "유심" 창간호 권두시
18. 태화관 3.1만세운동 시위 군중 독립선언식 "민족대표" 19. 선언서 20. 공약삼장 등 그외 다수
다음의 연보는 전보삼, [한용운연보](신동욱 편, 한국 현대시인 연구-⑧ 한용운, 문학세계사, 1993)의 연보를 그 동안의 연구성과를 참조하여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에서 수정·증보하였음.
나이 연 도 월 일
(양력)내 용 1세
1879
8. 29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1번지에서 한응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다.(乙卯, 음 7월 12일)
본관은 청주, 자는 정옥(貞玉), 속명은 유천(裕天)이며, 득도(得度) 때의 계명은 봉완(奉玩), 법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萬[卍]海)이다. 어머니는 온양 방씨 (方氏).6세
1884
향리의 사숙에서 한문을 배움.
9세
1887
『서상기(西廂記)』를 읽고, 『통감』, 『서경』「기삼백주」를 통달함.
14세
1892
향리에서 천안 전씨(全氏)와 결혼.
26세
1904
12. 21
맏아들 한보국 태어남.(보국 내외 북한에서 사망, 다섯 딸을 두었음)
27세
1905
1. 26
고향을 떠남.(19세, 25세설도 있음)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 설악산 백담사 등지를 전전하다가 마침내 1월 26일 백담사에서 김연곡(金蓮谷) 스승에게서 득도.
1월
백담사에서 전영제(全泳濟) 스승에 의하여 수계(受戒).
4월
백담사에서 이학암(李鶴庵) 스승에게 [기신론], [능엄경],[원각경]을 수료.
29세
1907
4. 15
강원도 건봉사에서 수선안거(최초의 禪수업)를 성취.
이때를 전후해서 세계여행을 계획하고 백담사에서 하산하여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으로 건너갔으나 일진회 첩자로 오해를 받아 죽을 고비를 넘기고 되돌아와 안변 석왕사 등 이곳저곳을 정처없이 전전함.
30세
1908
강원도 유점사에서 서월화(徐月華) 스승에게 [화엄경]을 수학
4월
일본의 마관·궁도·경도·동경·일광 등지를 주유하며 신문물을 시찰. 동경 조동종 대학(현 고마자와(駒澤) 대학에서 아사다(淺田) 교수의 주선으로 불교와 서양철학 수강함. 유학 중이던 최린(崔麟)과도 사귀고 10월 귀국.
10월
건봉사 이학암 스승에게 [반야경]과 [화엄경]을 수료.
12. 10
서울에 경성 명진 측량강습소를 개설, 소장에 취임(국토는 일제에 빼앗길지라도 개인 소유 및 사찰 소유의 토지를 수호하자는 이념 때문이었음).
31세
1909
7. 30
강원도 표훈사 불교강사에 취임.
32세
1910
3. 24
승려·비구니들의 ‘결혼허가 청원서’를 중추원에 제출함.
9. 20
경기도 장단군 화산강숙 강사에 취임. 『조선불교유신론』을 백담사에서 탈고.
33세
1911
1. 15
박한영·진진응·김종래·장금봉 등과 순천 송광사에서 승려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이회광이 일본 조동종과 체결한 한일불교동맹 조약을 분쇄하기로 함.
3. 15
송광사에서 조선 임제종 종무원을 설치하여 서무부장 취임.
3. 16
조선임제종 관장에 취임.
5. 5
조선임제종 종무원을 동래 범어사로 옮김.
가을
동북 삼성을 주유하면서 독립군의 정세를 살피던 중 통화현 굴라재에서 일본 첩자로 오해를 받아 총을 맞고 마취없이 총알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고 귀국함.
35세
1913
5. 19
통도사 불교강사에 취임.
5. 25
『조선불교 유신론』을 불교서관에서 발행.
12월
경전을 대중화하기 위해 『불교대전』 편찬을 계획하고 경남 양산 통도사의 대장경 1천여 부(1,511부, 6,802권)를 열람.
36세
1914
4월
불교강구회(佛敎講究會) 총재에 취임.
4. 30
『불교대전』을 범어사에서 발행.
8월
조선불교회 회장으로 취임.
37세
1915
영남·호남 지방의 사찰(내장사·화엄사·해인사·통도사·송광사·범어사·쌍계사·백양사·선암사 등)을 순례하며 곳곳에서 강연회를 열어 열변으로써 청중들을 감동시키다.
10월
조선선종 중앙포교당 포교사에 취임.
39세
1917
4. 6
『정선강의 채근담』을 신문관에서 발행.
12. 3
밤 10시쯤 오세암에서 좌선하던 중 바람에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그 동안의 의심스러운 생각들이 환하게 풀리게 되어(擬情頓釋) 진리를 깨치고, [오도송] 남김.
40세
1918
9월
서울 계동 43번지에서 월간지 『유심』(惟心)을 창간하여 편집 겸 발행인이 되다(12월까지 3권을 발행하고 중단됨). 동지 창간호에 논설 [조선청년과 수양]·[전로(前路)를 택하여 나아가라]·[고통과 쾌락]·[고학생]을 비롯하여 신체시를 탈피한 신시 [심](心)을 발표하다(일반적으로 신시의 선구를 주요한의 [불놀이]로 보지만 만해의 이 [심]은 그보다 1년 앞서서 발표됨).이때부터 더욱 문학 창작에 힘을 기울이다.
10월
[마(魔)는 자조물(自造物)이다]를 『유심』지에 발표하다.
12월
[자아를 해탈하라]·[천연(遷延)의 해(害)]·[훼예](毁譽)·[무용(無用)의 노심(勞心)], 수필[전가(前家)의 오동(梧桐)을 『유심』지에 발표.중앙학림 강사에 취임.
41세
1919
1-2월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과 관련하여 최린·오세창 등과 조선독립을 숙의.3.1운동을 주도, 최남선이 작성한 [독립선언서]의 자구 수정을 하고 공약 삼장을 첨가.
3. 1
경성 명월관 지점 태화관에서 민족을 대표하여 독립선언 연설을 하고 일본 경찰에게 체포됨. 투옥될 때에는 변호사·사식·보석을 거부할 것 등 투쟁 3대 원칙을 실천함.
7. 10
서대문 감옥에서 일본 검사의 심문에 대한 답변으로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를 기초하여 제출.(독립신문 52호 1919.11.4일자에 전문이 게재됨)
8. 1
경성지방법원 예심종결 결정 ‘관할위’(管轄違: 본 사건을 담당할 수 없음).
8. 7
경성고등법원 내란피고사건에 대한 예심판사 임명.
42세
1920
3. 22
경성고등법원 예심종결 결정 ‘경성지방법원을 본건의 관할 재판소로 지정함’
7. 12
공판개시.
7. 16
변호사 허헌이 공소불수리 신립(이의제기)으로 폐정.
7. 17
공판중지.
8. 9
‘공소불수리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판결.
9. 20
공판개시.
9. 24
공판 4일째 한용운 사실 심문 “독립은 민족의 자존심”
10. 30
경성복심법원 손병희 등 민족대표 48인에 대한 판결. 한용운, 손병희, 최린, 권동진, 오세창, 이종일, 이인환(이승훈), 함태영 등 8인은 최고형인 3년형 받음.
투옥 중 일제가 3·1운동을 회개하는 참회서를 써내면 사면해주겠다고 회유했으나 이를 거부.
43세
1921
12. 22
가출옥(최린, 함태영, 오세창, 권동진, 이종일, 김창준 등과 함께 경성감옥에서 같은 날 나옴. 음력 11월 24일)
44세
1922
3. 24
불교의 사회화를 위하여 법보회를 발기함.(팔만대장경 번역과 2천년간 조선불교 역사에서 고승대덕의 독특한 학설의 자료를 수집·출판하기 위함)
4월
조선불교청년회 주최로 [철창철학]이라는 연제로 강연.
10월
조선학생회 주최로 천도교 회관에서 [육바라밀]이라는 주제로 독립사상에 대한 강연.
45세
1923
2월
조선물산장려운동을 적극 지원.
4. 18
민립대학 설립 운동을 지원하는 강연에서 [자조]라는 연제로 청중을 감동시킴.(종로 청년회관)
46세
1924
10. 24
장편소설 [죽음]을 탈고하다(미발표).이때를 전후하여 민중계몽과 불교대중화를 위해 일간신문의 발행을 구상했으며, 마침 시대일보가 운영난에 빠지자 이를 인수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1. 6
대한불교청년회 초대 총재에 추대됨.
47세
1925
6. 7
오세암에서 『십현담주해』를 탈고.
8. 29
[님의 침묵] 탈고.
48세
1926
5. 15
『십현담주해』를 법보회에서 발행.
5. 20
시집 『님의 침묵』을 회동서관에서 발행.
6. 9
선학원에서 6·10만세운동 예비검속으로 구속.
12. 7
[가갸날에 대하여]를 동아일보에 발표.
49세
1927
1. 19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
6. 10
신간회 경성지회장에 당선.
7. 3
수필 [여성의 자각이 인류해방요소]을 동아일보에 발표.
8. 17
회고담 [죽었다가 살아난 이야기]를 『별건곤』지에 발표.
12. 5
동년 경성지회장 사임.(12.3 사표 제출)
12월
조선불교청년회의 체제를 개편하여 조선불교총동맹으로 개칭하고 제자들인 김상호·김법린 등과 일제의 불교 탄압에 맞서서 불교 대중화에 노력하다.
50세
1928
1월
수필 [천하명기 황진이]를 『별건곤』지에 발표.
6월
논설 [전문지식을 갖추자]를 『별건곤』지에 발표.
7. 26
『건봉사 및 건봉사 본말사 사적』을 편찬, 건봉사에서 발행하다.
8월
한용운 아들 보국 신간회 홍성지회 간사로 활동
51세
1929
11월
광주학생의거를 조병옥·김병로·송진우·이인·이원혁·이관용·서정희 등과 전국적으로 확대시키고 민중대회를 열다.
52세
1930
1월
논설 [소작농민의 각오]를 『조선농민』지에 발표. 수필 [남 모르는 나의 아들]을 『별건곤』지에 발표.
5월
김법린, 김상호, 이용조, 최범술 등이 조직한 청년승려비밀결사 만당(卍黨)의 영수로 추대.
53세
1931
5. 16
신간회 해소(해체)
6월
『불교』지를 인수하여 불교사 사장으로 취임하고 많은 논설을 발표.(6·7월로 합집 84·85호 합집부터)
7월
전북 전주 안심사에 보관되어 있던 한글 경판 원본(금강경, 원각경, 은중경, 유합, 천자문)을 발견 조사하다.[만화]를 7월부터 9월까지『불교』지에 발표.
9월
논설 [정·교를 분립하라]·[인도 불교운동의 편신](片信)·[국보적 한글 경판의 발견 경로]를 『불교』지에 발표.
9. 24
윤치호·신흥우 등과 나병 구제연구회를 조직하고 여수, 대구, 부산 등지에 간이수용소 설치를 결의하다.
10월
시론 [한갈등](閒葛藤)을 『불교』지에 발표하기 시작하다.(다음해 9월에 끝냄).논설 [중국불교의 현상]·[조선불교의 개혁안]·[불교개신에 대하여] 등을 『불교』지에 발표.
11월
[타이(의 불교]를 『불교』지에 발표.
12월
시론 [중국혁명과 종교의 수난] 및 [우주의 인과율] 등을 『불교』지에 발표.수필 [겨울 밤 나의 생활]을 『혜성』지에 발표.
54세
1932
불교 대표인물 투표에서 최고득점으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다(한용운 422표, 방한암 18표, 박한영 13표, 김태흡 8표, 이혼성 6표, 백용성 4표, 송종헌 3표, 백성욱 3표, 3표이하는 생략. 『불교』지 93호에 발표됨).
1월
수필 [평생 못 잊을 상처]를 조선일보에 발표.[원숭이와 불교]를 『불교』지에 발표.
2월
논설 [선과 인생]을 『불교』지에 발표.
3월
[사법개정에 대하여]·[세계종교계의 회고] 등을 『불교』지에 발표.
4월
[신도의 불교사업은 어떠할까]를 [불교]지에 발표.
5월
[불교 신임간부에게]를 [불교]지에 발표.
8월
[조선불교의 해외발전을 요망함]을 [불교]지에 발표.
9월
[신앙에 대하여]·[교단의 권위를 확립하라]등을 [불교]지에 발표.
10월
[불교청년 운동에 대하여], 기행문 [해인사 순례기] 등을 [불교] 지에 발표.
[월명야에 일수시] (月明夜에 一首詩)를 [삼천리]지에 발표.12월
전주 안심사에서 발견한 한글 경판을 보각 인출(印出)하다(당시 총독부에서 인출비용을 대겠다고 제의해 왔으나 강경히 거절, 유지 고재현 등이 ?출연한 돈으로 간행).이때를 전후하여 일제의 사주를 받은 식산은행이 일본화정책으로 조선 유명 인사를 매수하기 위한 일환으로 선생에게 성북동 일대의 국유지를 불하하여 주겠다고 했으나 이를 거절함.
55세
1933
유숙원씨와 재혼.
1월
논설[불교사업의 개정방침을 실행하라] 및 [한글경 인출을 마치고]를 『불교』지에 발표.
3월
[현대 아메리카의 종교]·[교정(敎政)연구회 창립에 대하여] 등을 [불교]지에 발표.
6월
[선과 자아]·[신러시아의 종교운동] 등을 [불교]지에 발표.
7월
『불교』지 휴간.
9월
수필 [시베리아 거쳐 서울로]를 [삼천리]지에 발표.
10월
[자립력행의 정신을 보급시키라]는 논설을 [신흥조선]지 창간호에 발표.
이때를 전후하여 [유마힐소설경]을 번역하기 시작.
이 해 벽산 스님이 집터를 기증하고, 방응모, 박광 등 몇 분의 성금으로 성북동에 <심우장>(尋牛莊)을 짓다. 이때 총독부돌집을 마주보기 싫다고 북향으로 짓도록 하였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56세
1934
9. 1
딸 영숙(英淑) 태어남.
57세
1935
3. 8~13
회고담 [북대륙의 하룻밤]을 조선일보에 발표.
4. 9
장편소설 [흑풍]을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 (다음해 2월 4일까지 연재함).
이때를 전후하여 대종교 교주 나철 유고집 간행을 추진.(미완성)58세
1936
장편소설 [후회]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다가 이 신문의 폐간으로 50회로써 중단.
단재 신채호의 묘비를 세우다(글씨는 오세창). 비용은 조선일보 에서 받은 원고료로 충당.7. 16
정인보, 안재홍 등과 경성 공평동 태서관에서 다산 정약용의 서세(逝世) 백년기념회를 개최.
10월
수필 [모종신범무아경](暮鐘晨梵無我境)을 [조광]지에 발표.
59세
1937
3. 1
재정난으로 휴간되었던 {불교}지를 속간하여 {신불교} 제 1집을 냄(논설'[불교] 속간에 대하여'를 발표).
소설 [철혈미인]을 [불교]신집에 연재하기 시작(2호까지 연재하고 중단됨).3. 3
광복운동의 선구자 일송 김동삼이 옥사하자 유해를 심우장에 모셔다 오일장을 지냄.
4월
논설 [조선불교 통제안]을 [불교] 신집에 발표.
5월
[역경(譯經)의 급무]를 [불교] 신집에 발표.
6월
[주지 선거에 대하여], 수상 [심우장설] 등을 [불교] 신집에 발표.
7월
[선외선](禪外禪)을 [불교] 신집에 발표.
8월
[정진]을 [불교] 신집에 발표.
10월
[불교] 신집에 연재하기 시작(이듬해 9월까지).
11월
[제논의 비시부동론(飛矢不動論)과 승조(僧肇)의 물불천론(物不遷論)을 [신불교] 신집에 발표.
12월
논설 [조선불교에 대한 과거 1년의 회고와 신년의 전망]을 [불교] 신집에 발표.
60세
1938
2월
논설 [불교청년 운동을 부활하라]를 [불교] 신집에 발표.
3월
[공산주의적 반종교이상(反宗敎理想)을 [불교]신집에 발표.
5. 18
장편소설 [박명](薄命)을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이듬해 3월 12일까지 연재).
5월
논설 [반종교 운동의 비판]·[불교와 효행]·[나찌스 독일의 종교]를 [불교] 신집에 발표.
7월
[인내]를 [불교] 신집에 발표.
9월
[31본산회의를 전망함]을 [불교] 신집에 발표.
11월
[총본산 창설에 대한 재인식]을 [불교] 신집에 발표.
만단(卍黨) 당원들이 일제에 피검되자 더욱 감시를 받다. 이때를 전후하여 조선불교사를 정리하려는 구상의 일단으로 [불교와 고려제왕]이란 제명으로 연대별로 고려불교사의 자료를 정리 편찬하려고 자료를 뽑기 시작(미완성).61세
1939
8. 26
회갑을 맞아 박광·이원혁·장도환·김관호씨가 중심이 되어 서울 동대문 밖 청량사에서 회갑연을 베풀다. 이때 오세창·권동진·홍명희·이병우·안종원 등 20여 명이 참석함.(음, 7월 12일)
8. 29
사흘 뒤 민족독립운동의 비밀집회장소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다솔사에서 김법린·최범술 등 몇 명의 동지와 후학들이 베푼 회갑 축하연에 참석하여 기념식수를 함.
11. 1
『삼국지』를 번역하여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함(이듬해 8월 11일 중단됨).
62세
1940
2월
논설 [<불교>의 과거와 미래]를 [불교] 신집에 발표.
5. 30
수필 [명사십리]가 [반도산하](半島山河)에 수록. 창씨개명에 대하여 박광· 이동하 등과 반대운동을 벌이다. 이때를 전후하여 [통도사사적]을 편찬하기 위하여 수백매의 자료를 수집(미완성).
64세
1942
신백우·박광·최범술 등과 신채호선생 유고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하고 원고를 수집. 이때를 전후하여 『태교』(胎敎)를 번역 강의함(프린트 본으로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
65세
1943
조선인 학병의 출정을 반대.
66세
1944
6. 29
(5. 9)심우장에서 영양실조로 입적. 유해는 제자 남정 박광, 해오 김관호 등이 미아리 화장장에서 다비한 후 망우리 공동 묘지에 안장함. 세수 66. 법랍 39.
만해의 친필 원고 등은 남정 박광이 보관.1948
5월
만해 한용운 전집 간행위원회가 최범술·박광·박영희·박근섭·김법린·김적음·장도환·김관호·박윤진·김용담에 의하여 결성되어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함.
1950
6월
6·25 사변이 일어나 전집간행 사업이 중단됨.
1957
박광이 소장하고 있던 만해의 친필 원고 등을 최범술에게 인계.
1958
7월
만해 한용운 전집 간행위원회 간행위원으로서 조지훈·문영빈이 새로 참가하여 제2차 간행사업을 추진함.
1959
2월
고대문학회에서 주도한 한용운 원고 정리작업은 완료하였으나 출판은 미루어짐.
1960
9. 20
박노준, 인권환이 『한용운연구』(통문관)을 출간.
1962
3. 1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훈기번호 제25호) 수여.
1965
5. 12
망우리 묘지 이장과 묘비건립을 논의(선학원)하였으나 실천에 옮기지는 못함.
1967
10월
‘용운당 만해 대선사비 건립추진회’에서 『용운당 대선사비』를 제작함.
1970
3. 1
『용운당 대선사비』를 탑골 공원에 세움.
1971
『만해한용운전집』간행을 위하여 신구문화사는 만해 한용운전집 간행위원회에서 수집 보관중인 원고를 인수하고, 김영호의 적극적인 협조로 누락된 원고를 다수 수집하였으며, 최범술·조명기·박종흥·서경보·백철·홍이섭·정병욱·천관우·신동문 등을 위원으로 한 편찬위원회를 구성함.(최범술·민동선·김관호·문후근·이화형·조위규 등이 제3차 간행위원회를 조직함.)
1973
7. 5
『한용운전집』 전 6권 (신구문화사) 간행.
1974
만해문학상이 창작과비평사에서 제정.
1977
한보국 북한에서 사망.
1979
6. 29
김관호, 전보삼 등이 중심이 되어 신구문화사에서 '만해사상연구회'를 결성.
9. 10
『증보 한용운전집』(신구문화사) 간행.
12. 29
망우리 만해묘소에 만해사상연구회 주도로 비석과 상석을 세움.(다음해 3월 1일 묘비 제막식을 거행함)
1980
6. 29
만해사상연구회에서『만해사상연구』 제1집 간행함. 그리고 <만해 탄생 100주년 기념강연회>를 조계사에서 만해사상연구회 주최로 개최함.
1981
10. 20
성북동 심우장에 만해기념관(관장 전보삼)이 개관됨.
1985
만해 동상이 홍성군 남장리 언덕에 건립됨.
북한에서도 김일성의 지시로 한용운의 작품을 발굴 소개하기 시작함.
1988
대한불교청년회에서 독립기념관에 한용운 대선사 기념어록비 건립함.
만해 한용운의 문화지도(서울권, 홍성권, 설악권) 제작.
1990
성북동 심우장의 만해기념관을 남한산성 내로 이전하여 다시 개관함.
1991
한계전이 중심이 되어 '만해학회' 결성.
1992
만해 ‘오도송’과 ‘나룻배와 행인’의 시비가 백담사에 세워짐.
만해 생가가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박철 부락에 복원됨.1993
{만해학보} 제 1집이 간행됨.
1995
제 1회 '만해제'가 만해학회 및 홍성문화원 주최로 홍성에서 열리고 생가지에 만해 추모 사당 '만해사(萬海祠)'가 준공됨.
1996
만해사상실천선양회(회장, 조오현 신흥사 회주)가 결성됨.
8. 15
대한불교청년회 주최로 독립기념관에 만해어록비 다시 세움.
1997
11월
만해기념관이 백담사에 세워짐.
1999
8. 13~16
제1회 만해축전 <만해학 국제학술대회>가 설악산 백담사에서 개최됨.
2003
9. 23
백담사 입구에 백담사 만해마을 개관.
2007
10. 19
홍성군 만해생가 앞에 만해체험관 개관.
'국내 나들이 > 사찰(寺刹), 불교(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신(山神), 칠성(七聖), 독성(獨聖)님을 모신 곳...오세암 삼성각 (0) 2008.10.24 잔칫집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내설악 "영시암"의 국수공양 (0) 2008.10.24 전두환 전 대통령이 머물던 곳, 백담사 (0) 2008.10.22 내설악 만경대에서 본 오세암(五歲庵) (0) 2008.10.22 영남 제일의 호국충효 원찰, 용추사 대웅전(龍湫寺 大雄殿) (0) 200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