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南漢山城)-사적 제56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5. 4. 19. 05:55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南漢山城)-사적 제56호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2년(672년)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격퇴한 곳이기도 하고 일제강점기엔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한 곳이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주로 병자호란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조선 인조 14년(1636년) 청나라가 침략해 오자 왕은 이곳으로 피신하여 항전하였으나,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 나가 치욕적인 항복을 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남한산성은 패배를 알지 못하는 곳이다.
성의 외부는 급경사를 이루어 적의 접근이 어렵고,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여 넓은 경작지와 물을 갖춘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병자호란 당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함락 당하지 않고 47일나 항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오랜 기간동안 우여곡절을 가진 성의 역사처럼 성곽의 형태 또한 단순하지 않아서
하나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본성, 봉암성, 한봉성, 신남성과 5개의 옹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인조 4년(1626년)에 중앙부의 가장 큰 폐곡선인 본성이 완성되었고,
병자호란 이후 방어력을 높이기 위하여 동쪽의 봉암성, 한봉성 등을 비롯하여
여러 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834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의 첫 구석기 유적지 "천지연 생수궤(天地淵 生水궤)" (0) 2015.05.09 거제의 관문을 지키던 "오량성(烏良城)" (0) 2015.04.20 창경궁(昌慶宮) - 사적 제123호 (0) 2015.04.17 창경궁 함인정(昌慶宮 涵仁亭) (0) 2015.04.17 남한산성(南漢山城) 연주봉(連珠峰) 옹성(甕城)과 암문(暗門) (0) 201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