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대포 객사(多大浦 客舍)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7. 12. 7. 05:01
다대포 객사(多大浦 客舍)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다대포 객사의 편액 ‘회원관(懷遠館)’
다대포 객사(多大浦 客舍)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이 건물은 조선 후기 다대 첨절제사영(多大 僉節制使營)에 있었던 객사이다.
다대포는 예부터 왜구를 막기 위한 군사적 요충으로 중시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상좌도 7진 중의 하나가 되었는데, 부산진과 함께 다른 진보다 더 중시되어다른 진보다 2배의 병선을 보유하였으며, 첨사(僉使)는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이었다.
객사는 조선시대 관아건물의 하나로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보관하고,
고을의 수령이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하여 망배(望拜)를 드리던 곳인데, 사신의 숙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객사에는 정당(正堂)과 그 좌우에 익실(翼室)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객사는 정당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에 팔작(八作)지붕이다.
안두리기둥 위에 절단된 큰 들보를 놓은 5량집이며 벽이 없다.
본래 다대초등학교의 교정에 있던 것을 1970년 현위치로 이전, 복원하였으며,
1980년 부산광역시에서 기둥과 마루를 보수하고 단청공사와 현판을 설치하였다.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객사 건축물로서는 유일한 것이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1동 산144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당(聽松堂) - 거창 수승대(居昌 搜勝臺) (0) 2017.12.17 문화재 훼손신고, 1661-9112 (0) 2017.12.16 강화 고려궁지 외규장각(江華 高麗宮址 外奎章閣) (0) 2017.12.05 보문사(普門寺) 맷돌 - 인천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0) 2017.12.04 낙가산(落袈山) 눈썹바위와 보문사 마애석불좌상(普門寺 磨崖石佛坐像) (0) 20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