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 훼손신고, 1661-9112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7. 12. 16. 22:30
문화재 훼손신고, 1661-9112
도난, 도굴, 벌레로 인한 피해, 금이 가거나 부서짐, 낙서나 오물이 있음,
이끼가 끼거나 썩음, 비나 물이 샘, 곰팡이가 생김, 풀이 많이 자람
모두가 지켜야 할 소중한 우리자산 문화재 훼손을 보았을 때
문화재를 지키는 또 하나의 방법
전화 1661-9112
홈페이지 모바일신고 한국문화재돌봄협회 www.1661-9112.org
문화재 유형병 훼손내용
1. 건조물문화재
① 건조물문화재는 목조문화재와 석조문화재를 포괄한다.
② 오랜 세월의 경과로 인한 풍화, 부식은 물론 기후 온난화, 대기오염 등으로 훼손이 빨라지고 있다.목조문화재는 흰개미 등 충해와 부식, 화재 등에 취약하며
석조문화재는 이끼류 등 생물학적 피해와 오랜 세월 풍화 등으로 재질이 약화되고 있다.
2. 동산문화재
① 동산문화재는 역사상 또는 예술성 가치가 있는 유형의 문화재 가운데전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고고자료 등과 같이 이동이 가능한 문화재이다.
② 문중이나 개인소장자의 경우 공개기피와 관리의 부실 등으로귀중한 문화재가 화재 및 도난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3. 사적과 명승
① 사적과 명승은 역사적 유적과 주변에 아름다운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곳으로 국가가 법적으로 지정하고 있다.
② 우리민족의 생성, 역사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절터, 궁지, 성곽, 고분군 등이 이에 속하며범위가 광대하여 자연재해, 식물, 동물, 곤충, 도난, 오물, 개발 등으로 인하여 지역별, 유형별, 계절별로
훼손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시적 관점의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다.
4. 천연기념물
① 천연기념물은 학술 및 관상적 가치가 높아 그 보호와 보존을 법률로써 지정한 동물(그 서식지),식물, 지질, 광물과 그 밖의 천연물 등이 포함된다.
② 환경오염과 급속한 개발로 자연유산의 생태환경이 악화되어 소실될 위험이 높다.5. 중요무형문화재
①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기타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상, 학술상, 예술상 가치가 크다.
② 생활의 현대화, 산업기술의 발달 등으로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6. 등록문화재
① 근대문화유산 가운데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가치가 커 지정하였다.
② 개화기 이후에 건립된 많은 근대문화유산들이 문화재로서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무분별한 개발이나 방치 등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경우가 많다.
7. 중요민속자료
① 의, 식, 주, 생업,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습,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 가구, 가옥 등으로서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문화재이다.
② 보관이나 관리상의 문제로 훼손이 발생하고, 훼손되었을 때 과학적 실측이 미흡하여 향후 복원에 어려움이 있다.8. 매장문화재
① 토지, 해저 또는 건조물 등에 포장된 문화재로서 매장되어있는 유형의 문화재이다.
② 최근 국토개발과 도시화로 인하여 매장문화재 발굴 조사 건수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다.도굴이나 발굴 기피 등으로 매장문화재가 분실된 경우가 있으므로
매장문화재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찾아야 한다.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수정(樂水亭) - 거창 수승대(居昌 搜勝臺) (0) 2017.12.18 청송당(聽松堂) - 거창 수승대(居昌 搜勝臺) (0) 2017.12.17 다대포 객사(多大浦 客舍)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0) 2017.12.07 강화 고려궁지 외규장각(江華 高麗宮址 外奎章閣) (0) 2017.12.05 보문사(普門寺) 맷돌 - 인천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0)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