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문화재 훼손신고, 1661-9112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7. 12. 16. 22:30

    문화재 훼손신고, 1661-9112

     

    도난, 도굴, 벌레로 인한 피해, 금이 가거나 부서짐, 낙서나 오물이 있음,

    이끼가 끼거나 썩음, 비나 물이 샘, 곰팡이가 생김풀이 많이 자람

     

    모두가 지켜야 할 소중한 우리자산 문화재 훼손을 보았을 때

    문화재를 지키는 또 하나의 방법

    전화 1661-9112

    홈페이지 모바일신고 한국문화재돌봄협회 www.1661-9112.org

     

     

     

     

     

     

     

    문화재 유형병 훼손내용

     

    1. 건조물문화재
    건조물문화재는 목조문화재와 석조문화재를 포괄한다.
    오랜 세월의 경과로 인한 풍화, 부식은 물론 기후 온난화, 대기오염 등으로 훼손이 빨라지고 있다.

    목조문화재는 흰개미 등 충해와 부식, 화재 등에 취약하며

    석조문화재는 이끼류 등 생물학적 피해와 오랜 세월 풍화 등으로 재질이 약화되고 있다.

     

    2. 동산문화재
    동산문화재는 역사상 또는 예술성 가치가 있는 유형의 문화재 가운데

    전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고고자료 등과 같이 이동이 가능한 문화재이다.
    문중이나 개인소장자의 경우 공개기피와 관리의 부실 등으로

    귀중한 문화재가 화재 및 도난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3. 사적과 명승
    사적과 명승은 역사적 유적과 주변에 아름다운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곳으로 국가가 법적으로 지정하고 있다.
    우리민족의 생성, 역사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절터, 궁지, 성곽, 고분군 등이 이에 속하며

    범위가 광대하여 자연재해, 식물, 동물, 곤충, 도난, 오물, 개발 등으로 인하여 지역별, 유형별, 계절별로

    훼손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시적 관점의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다.

     

    4.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은 학술 및 관상적 가치가 높아 그 보호와 보존을 법률로써 지정한 동물(그 서식지),

    식물, 지질, 광물과 그 밖의 천연물 등이 포함된다.
    환경오염과 급속한 개발로 자연유산의 생태환경이 악화되어 소실될 위험이 높다.

     

    5. 중요무형문화재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기타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상, 학술상, 예술상 가치가 크다.
    생활의 현대화, 산업기술의 발달 등으로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6. 등록문화재
    근대문화유산 가운데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가치가 커 지정하였다.
    개화기 이후에 건립된 많은 근대문화유산들이 문화재로서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

    무분별한 개발이나 방치 등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경우가 많다.

     

    7. 중요민속자료
    , , , 생업,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습,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 가구, 가옥 등으로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문화재이다.
    보관이나 관리상의 문제로 훼손이 발생하고, 훼손되었을 때 과학적 실측이 미흡하여 향후 복원에 어려움이 있다.

     

    8. 매장문화재
    토지, 해저 또는 건조물 등에 포장된 문화재로서 매장되어있는 유형의 문화재이다.
    최근 국토개발과 도시화로 인하여 매장문화재 발굴 조사 건수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다.

    도굴이나 발굴 기피 등으로 매장문화재가 분실된 경우가 있으므로

    매장문화재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찾아야 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