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헌 윤봉길의사 어록탑(梅軒 尹奉吉義士 語錄塔)국내 나들이/탑(塔) 2018. 2. 6. 22:30
매헌 윤봉길의사 어록탑(梅軒 尹奉吉義士 語錄塔)
월진회가(月進會歌) – 윤봉길 작사, 윤극영 작곡
1. 조화신공 가야산의 정기를 받고 절승경개 수덕산의 정기를 모아 금수강산 삼천리 무궁화원에 길이길이 빛을 내는 우리 월진회
2. 가야산은 우리의 배경이 되고 온천들은 우리의 무대장이다 두팔걷고 두발벗고 출연하여서 어서바삐 자급자족 출현을 하자
3. 암흑동천 계명성이 돋아오나니 양육강식 잔인성을 내어 버리고 상조상애 넉자를 철안 삼아서 굳세게 단결하자 우리 월진회
※ 윤봉길이 중국 상해로 떠나기 전 자급자족·상부상조를 목표로 조직한 월진회의 회가.
월진회 금언(月進會 金言)
월(月)…월지광(月之光)으로써 일락지암(日落之暗) 다시 밝힐 수 있으리니
진(進)…진행곡(進行曲)에 발을 맞추어 한 마음 한 뜻으로
회(會)…회(會)의 준분(準分)을 간폐(肝肺)에굳세게 명각(銘刻)하여
금(金)…금(金)과 같이 당당한 만중(만중)의 숭배물(崇拜物)이 되어보자
언(言)…언약불수(言若不守)면 불신(不信)이요 불신이면 비인(非人)이다
인생관(人生觀)
沐溪一曲水(목계일곡수) 목계의 한 굽이 물은
修德源自流(수덕원자류) 수덕산 원천에서 흘러내리니
滌吾身汚穢(척오신오예) 내 몸의 더러운 때를 씻어 내면
無盡格千秋(무진격천추) 천추에 그 격 다함이 없으리
학습관(學習觀)
不朽聲名士氣明(불후성명사기명) 불후한 명성으로 선비의 기개 밝고
士氣明明萬古晴(사기명명만고청) 선비의 기개 밝고 밝아 만고에 맑으리라.
萬古晴心都在學(만고청심도재학) 만고에 맑은 마음 모두 학문에 있으니
都在學行不朽聲(도재학행불후성) 모두 학행이 있으면 명성 영원하리라
뜻을 세우다
일본글은 가짜다! 힘으로 우리나라를 덮쳐 국모를 살해하고, 민족정기를 말살하고,
국왕을 몰아내고 나라를 뺏어 우리의 목숨과 재물을 업신여겨 인륜을 져버렸다.
이런 자들의 글을 배워 무엇하나?
다같이 나가자
희망의 나라로 가자! 나는 농부여 나는 농부요 너는 노동자다
우리는 똑같이 일하는 사람이다 높지도 낮지도 아니하다
나는 밭을 갈고 너는 쇠를 다룬다 우리 세상이 잘되도록 쉬지않고 일하자
앞으로 앞으로 더욱 앞으로바로보고 바로 배우자
미래를 현재의 토대 위에서 준비하자! 우리가 울긋불긋한 단풍잎을 꽃으로 알면 우리는 망할 것이다.
시절은 봄철이 아니요 만물을 죽이는 가을철이다. 우리는 삼동을 살아나갈 양식도 많이 준비하여야 하고
의복도 많이 준비하여야 격렬한 추위를 당할지라도 겁내지 않을 것이다.
생명창고를 지키자
생명창고는 농민의 몫이다! 농민은 세상 인류의 생명창고를 그 손에 잡고 있다.
우리 조선이 돌연히 상공업 나라로 변하여 하루아침에 농업은 그 자취를 잃어 버렸다 하더라도
이 변치못할 생명창고의 열쇠는 의연히 지구상 어느 나라의 농민이 잡고 있을 것은 사실이다.
자유를 쟁취하자!
사람은 자유의 세상을 찾는다!
사람에게는 천부의 자유가 있다. 머리에 돌이 눌리고 목에 쇠사슬이 걸린 사람은 자유를 잃은 사람이다.
자유 세상을 우리가 찾는다. 자유의 생각은 귀하다.
나에 대한 생각, 민중에 대한 생각 그리고 개인의 자유는 민중의 자유에서 나아진다.
큰 사랑을 깨닫자
큰 사랑에 눈을 뜨자!
우리 청년시대는 부모의 사랑보다 형제의 사랑보다 처자의 사랑보다 일층강인한 사랑이 있는 것을 각오하였다.
나의 우로와 나의 강산과 나의 부모를 버리고라도 이 길을 떠나간다는 결심이다.
이상을 실천하자
사람은 왜 사느냐! 이상을 세우기 위하여 산다.
이상이란 무엇이냐? 목적의 성공이다.
보라 풀은 꽃이 피고 나무는 열매를 맺는다 만물의 영장인 사람 나도 이상의 꽃이 피고 목적의 열매가 맺기를 자신하였다.
(이는 의거를 뜻하며 준비된 의사로서의 변신이다)
'국내 나들이 > 탑(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주의병기념탑 준공비(洪州義兵記念塔 竣工碑) (0) 2018.12.07 웅진탑(熊津塔) (0) 2018.11.01 윤봉길의사의거기념탑(尹奉吉義士義擧記念塔) (0) 2018.02.04 녹색혁명성취탑(綠色革命成就塔)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0) 2017.11.26 3.1운동순국기념탑(三.一運動殉國紀念塔) - 제암리 (0) 2017.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