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동춘당 종택(大田 同春堂 宗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89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8. 3. 27. 05:36
대전 동춘당 종택(大田 同春堂 宗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89호
백세청풍(百世淸風)
동춘당 종택 사랑채 대청마루 위에 씌여진 글.
백세청풍(百世淸風)은 백대에 부는 맑은 바람이라는 뜻이다.
백세(百世)는 ‘오랜 세월’, 또는 ‘영원’을 뜻하고, 청풍(淸風)은 매섭도록 맑고 높은 군자의 절개나 덕을 비유한다.
따라서 백세청풍은 영원토록 변치 않는 선비의 절개를 의미한다.
조선시대에는 ‘백세청풍’이란 글자를 충신들의 고택(古宅)에 현판으로 걸거나
혹은 거주지의 바위나 비석에 새겼다.
대전 동춘당 종택(大田 同春堂 宗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89호
대전 동춘당 종택은 조선 후기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인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의
5대조 송요년(1429~1499)이 15세기 후반 초창하였다고 전해지며,
이후 몇 차례 이축(移築)을 거쳐 현재는 1835년 중건할 때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안채는 충청지역에서는 드문 ‘ㄷ’자형 평면을 이루며, 6칸 대청과 양통집 구조인 날개채,
세로로 긴 안마당 구성은 이 지역 상류주택의 특성을 나타내며,
사랑채는 일자형으로 규모가 크고 큰사랑방과 작은사랑방이 별도의 마루방을 갖고,
내외담을 통해 안채와의 절묘한 단면상의 조형성을 볼 수 있다.
대전 동춘당 종택은 조선 후기 호서지역 명현인 동춘당 송준길의 종가로
불천위(不遷位)와 기타 제례가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
(註) 양통집 : 안방, 사랑방, 부엌, 마루 등이 한 채에 딸려 있으며, 측면이 2칸인 집
(註) 불천위 제사(不遷位 祭祀): 나라에 큰 공훈이 있거나 도덕과 학문이 높아
4대가 지나도 신주(神主)를 묻지 않고 사당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80 (송촌동)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 신동엽 생가(詩人 申東曄 生家) (0) 2018.03.31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과 석불좌상 (0) 2018.03.30 대전 소대헌 호연재 고택(大田 小大軒·浩然齋 古宅) - 중요민속문화재 제290호 (0) 2018.03.26 대전 회덕 동춘당(大田 懷德 同春堂) - 보물 제209호 (0) 2018.03.26 하동 쌍계사 대웅전(河東 雙磎寺 大雄殿) - 보물 제500호 (0) 20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