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비석거리공원
    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19. 1. 19. 04:30

    비석거리공원(서울 송파)


    가락동의 지명은 조선 시대의 '가락골'이라는 자연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한강이 범람하여 송파동 일대가 물에 잠겨 있을 때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가희 살만한 땅',즉 좋은 땅이라고 하여 가락리(可樂里)라고 부르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곳은 191431일 경기도 구역 획정(劃定)에 따라 흥이, 넘어말, 새터말, 방죽말, 방죽안말, 솔모랭이 등의

    자연 부락을 합쳐져 광주군 중부면에 소속된 가락리가 되었고, 196311일 서울시에 편입된 후 지금의 가락동이 되었다.

    이 지역은 비석들이 많이 세워져 있어 비선거리또는 비석거리라고 불렸으며,

    오늘날 시가지로 개발되면서 흩어져 있던 비석들을 모아 쉼터로 복원하고 공원을 조성하여 비석거리공원이라고 이름 지었다.

    2018720일  송파구청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牧使 李公時昉(목사 이공시방)

    牧使公時昉撫軍愛民淸德善政碑(목사공시방무군애민청덕선정비)

    崇禎四年十一月初九立(숭정사년십일월초구입)




    牧使 李碩達(목사 이석달)

    牧使李公碩達淸德善政碑(목사이공석달청덕선정비)

    崇禎八年五月日立(숭정팔년오월일입)




    府尹 許徽(부윤 허휘)

    府尹許公徽淸德善政碑(부윤 허휘 청덕선정비)




    府尹 沈之溟(부윤 심지명)

    府尹沈侯之溟淸德善政碑(부윤심후지명청덕선정비)




    府尹 金汝鈺(부윤 김여옥)

    府尹金侯汝鈺淸德善政碑(부윤김후여옥청덕선정비)




    府尹 李袗(부윤 이진)

    府尹李侯袗淸德善政碑(부윤이후진청덕선정비)




    府尹 鄭致和(부윤 정치화)

    府尹 鄭候致和淸德善政碑(부윤 정후치화청덕선정비)




    府尹 申埈(부윤 신준)

    府尹申公埈善政碑(부윤신공준선정비)

    丙戌正月日入(병술정월일입)




    府尹 洪瑑(부윤 홍전)

    府尹洪公瑑淸政碑(부윤홍공전청정비)

    丙戌正月日入(병술정월일입)




    城主 黃杘(성주 황희)

    城主黃侯杘淸簡善政碑(성주황희청간선정비)

    辛卯十一月日(신묘십일월일)




    城主 奇震興(성주 기진흥)

    城主奇侯震興愛民善政碑(성주기후진흥애민선정비)

    辛卯十一月日(신묘십일월일)




    가락시장(可樂市場)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




    비문 각자 내용(碑文 刻字 內容)


    1. 牧使 李公時昉(목사 이공시방) 牧使公時昉撫軍愛民淸德善政碑(목사공시방무군애민청덕선정비),

    崇禎四年十一月初九立(숭정사년십일월초구입)

    2. 牧使 李碩達(목사 이석), 牧使李公碩達淸德善政碑(목사이공석달청덕선정비), 崇禎八年五月日立(숭정팔년오월일입)

    3. 府尹 許徽(부윤 허휘), 府尹許公徽淸德善政碑(부윤 허휘 청덕선정비)  

    4. 府尹 沈之溟(부윤 심지명), 府尹沈侯之溟淸德善政碑(부윤심후지명청덕선정비)

    5. 府尹 金汝鈺(부윤 김여옥), 府尹金侯汝鈺淸德善政碑(부윤김후여옥청덕선정비)

    6. 府尹 李袗(부윤 이진), 府尹李侯袗淸德善政碑(부윤이후진청덕선정비)

    7. 府尹 鄭致和(부윤 정치화), 府尹 鄭候致和淸德善政碑(부윤 정후치화청덕선정비)

    8. 府尹 申埈(부윤 신준) , 府尹申公埈善政碑(부윤신공준선정비), 丙戌正月日入(병술정월일입)

    9. 府尹 洪瑑(부윤 홍전), 府尹洪公瑑淸政碑(부윤홍공전청정비), 丙戌正月日入(병술정월일입)

    10. 城主 黃(성주 황희), 城主黃侯杘淸簡善政碑(성주황희청간선정비), 辛卯十一月日(신묘십일월일)

    11. 城主 奇震興(성주 기진흥), 城主奇侯震興愛民善政碑(성주기후진흥애민선정비), 辛卯十一月日(신묘십일월일)  




    비석 거리 공원


    이 지역이 시가지로 개발되면서 원형을 잃고 흩어져 있던 송덕비(頌德碑)들을 모아

    그 옛날 나그네들이 쉬어가던 쉼터로 조성하고, 공원을 조성하여 비석거리공원이라 명명하였다

     이곳에는 모두 11기의 송덕비가 있다. 송덕비는 옛날 지방관(地方官)이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고 떠나면

    주민들이 비용을 염출하여 눈에 잘 띄는 큰 길 가에 세워 공적을 칭송한 비석을 말하는 것으로 선정비(善政碑)라고도 한다.

    이곳 송덕비는 모두 방부원수형(方趺圓首形)의 형식을 취허고 있는데,

    위가 둥근 것은 하늘을 상징하고 아래가 네모난 것은 땅을 상징한다.

    여기에는 목사(牧使) 2명 부윤(府尹) 7명 성주(城主) 2명의 송덕비가 있다.

    부윤(府尹)은 부()의 우두머리이며 지금의 시장(市長)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종2품 문관의 외관직(外官職)의 직위에 해당되며,

    목사(牧使)는 조선시대에 관찰사(觀察使) 밑에 크고 중요한 고을의 각 목()을 맡아서 다스리던

    3품 외직문관(外職文官), 목관(牧官)이었으며.

    성주(城主)는 성()의 우두머리이거나 고을의 원()을 달리 일컫는 말이다.








    송파유래비 건립취지


    한강은 억만년 유유히 흐르고 있다.

    우리의 조상들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한강유역 지금의 롯데월드 중심지역에서 선사시대부터 송파진에서

    270여호가 삶에 터전을 잡아 살았으며 삼남(충청, 영남, 호남)지방과 서울(한양)을 이어주던 조선 후기의 송파나루터로 유명하다.

    송파5일장은 전국에서 우마가 줄지어 모여들어 도성의 문물을 실어 나르느라고 분주하였고 한강에 황포돛배는 줄을 지어 오르내렸고

    정월과 7월이면 보름달아래 송파장에서 백중놀이 가무를 즐기는 멋을 알았으며 송파산대놀이 무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받아

    지금도 한국가면극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1919년 기미년 31일 독립만세운동을 송파장에서 주도하기도 하였으며

    1925년 을축년(乙丑年) 7월 대홍수로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가락리 410번지 일대로 이주하여 면소재지로 크게 번창하였고

    19474월 송파인이 주축이 되어 일본인의 적산가옥을 인수하여 광서중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지금의 일신중학교롤 개명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송파5일장과 우시장이 전국에 널리 알려져 명성을 날리며 풍요롭게 살았으나

    조국의 눈부신 발전으로 이 지역이 변형되자 정든 터전을 잃고 고향을 떠나 인근 지역에 흩어져

    우리 후손들은 고향을 잃은 아쉬움을 달래려 작은 정성을 모아 이 비를 세워 보전하고자 하니

    후손들이 찾더라도 자신의 짙은 뿌리를 실감하여 더욱 성실한 일꾼으로 보람차게 살아 가기를 기대하노라

    20081227일 건립 송파대동회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