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물, 서울 청계천 수표(淸溪川 水標)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12. 14. 21:06
보물, 서울 청계천 수표(淸溪川 水標)
물의 높이를 재는 수표는 처음에는 나무로 만들어 세종 23년(1441년)에 청계천에 설치했다.
이에 대해 성종 때 편찬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돌로 만든 수표에 척촌(尺寸)의 숫자를 새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의 수표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원래 수표교 위쪽 가운데 물속에 있었는데,
청계천을 덮으면서 장충단공원으로 옮겼다가 1973년 지금의 자리로 가져왔다.
이 수표는 커다란 받침 위에 육각기둥을 세우고 연꽃 문양을 새긴 덮개를 얹은 구조이다.
기둥은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육각의 긴 면을 향하게 하여 물살의 저항을 줄였다.
기둥에 10자까지 눈금을 파고 앞뒷면에는 숫자를 새겼는데,
눈금의 간격은 주척(周尺) 1자로 평균 21.5cm이다.
수표교와 마주한 면에는 3자 6자 9자의 위치에
둥근 구멍을 파서 물의 높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기둥 하단과 받침돌에 청계천을 준설한 해인 계사경준(癸巳更濬, 1833년)과
기사대준(己巳大濬, 1869년)이 새겨져 있다.
구조는 간단하지만 치밀한 설계와 조형미를 갖춘 문화재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관 실외 전시장
'국내 나들이 > 문화재(文化財)를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성 죽주산성과 송문주 장군 사당 (0) 2021.12.15 영휘원 재실(永徽園 齋室) (0) 2021.12.15 태 항아리 석함(胎 항아리 石函) (0) 2021.12.13 유석 조병옥 박사 생가(維石 趙炳玉 博士 生家) (0) 2021.12.11 사적, 충청남도 기념물 -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0) 20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