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와 서울대학교병원(서울大學校病院)
    일상생활속에서/사람사는 현장 2022. 4. 21. 21:07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서울대학교병원

     

     

     

     

    지석영 길(池錫永 길)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안내도

     
     
     
     

    서울대학교 학생관

     
     
     
     

    서울대학교 교육관

     
     
     
     

    함춘(含春) 동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대학과 의과학관

     
     
     
     

    엄마와 아기(최기원 작)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암병원

     
     
     
     

    서울대학교병원(서울大學校病院)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에 설립된 왕립병원 광혜원(廣惠院)을 시작으로

    제중원(濟衆院)·광제원(廣濟院)·대한의원(大韓醫院)·조선총독부의원(朝鮮總督府醫院) 및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의학부 부속병원으로 그 맥을 이어오다가,

    8·15 광복과 함께 1946년 국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칭하고,

    1978년 7월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으로 개편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

     
     
     
     

    응급의료센터와 어린이병원

     
     
     
     

    사적, 대한의원(大韓醫院)

     

    건립 시대 : 1908년(융희 2)

    이 건축물은 대한제국(1897-1910) 시대 우리나라 위생 및 의료의 중추기관이었던 대한의원의 본관이다.

    대한의원은 1907년(융희 1) 3월 당시 국립 의료기관에 해당하였던 광제원(廣濟院)과

    국립 의학교육기관인 의학교(醫學校)와 부속병원

    그리고 대한적십자병원을 통합하여 의정부(議政府) 직할로 설립되었다.

    대한의원은 1906년(광무 10) 8월에 과거 함춘원(含春원) 터에 세우기 시작하였고,

    1908년 10월에 개원하였다.

    이 병원은 1910년 일제 강점으로 인해 조선총독부 의원 본관이 되었으며,

    1928년부터는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의 본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광복 후에는 국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본관으로 쓰이다가

    현재는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준공 당시에는 2층의 본관 건물과 벽돌조 단층의 병실 7개동,

    그리고 부속건물로 이루어졌으나 지금은 본관만 남아있다.

    건물의 내부는 속복도형으로 복도 양쪽에 방이 있고, 중앙과 측면의 목조 계단은 원형이 남아 있다.

    이 건물에는 중앙에 돔 양식의 둥근 지붕을 얹은 네오 바로크 풍의 시계탑과 르네상스 양식의 벽면,

    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현관 포치 등 다양한 서양 건축양식이 어울려 있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 서양식 건축이 유입될 무렵의 모습을 보여 준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01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內

     
     
     
     

    실험동물 공양탑(實驗動物供養塔)


    대한의원 뒤편 정원에는 ‘實驗動物供養塔’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비가 있다.

    실험실에서 죽어간 동물들의 넋을 위로하기 세운 탑으로,

    대한의원이 총독부 의원이었던 1922년에 세운 것이다.

     
     
     
     

    일성 명주완 박사 기념비(一惺 明柱完 博士 紀念碑)

     

    일성 명주완 선생님은 1905년 서울에서 나시어 1977년 8월에 그 생애를 서울에서 마치시었다.

    일찍이 의학에 뜻을 두시어 나라를 잃었던 시대에는 인술로 이웃을 돌보시었고

    해방과 더불어 경성대학 의학부 신경정신과 주임교수와 병원장직을 겸하여 맡으시면서

    초창기 신경정신의학의 초석이 되고자 밤낮없이 애쓰시었다.

    6.25 동란에는 솔선하여 군문에 입대하시어 환자 진료에 열과 성을 쏟으시면서

    ‘정신병은 꼭 낫는다’는 신념을 환자 진료에는 물론 후학지도의 근본으로 삼으시었다.

    이어 선생님은 서울의대, 조선의대에서 학장과 병원장으로 중책을 맡아

    이나라 의학 교육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셨고 대한의학협회장, 서울시 의사회장 등

    의사단체 활동에도 앞장서시어 의도 확립과 의권 옹호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시었고

    공직을 떠나셔서는 언어학에 대한 연구를 하시는 등 학문에의 불같은 의지를 보이시었다.

    정신의학에 기울이신 선생님의 깊고 높은 뜻과 의학교육발전과 의권 옹호를 위해

    기울이신 큰 정성을 뒷날에 길이 전하고자 여기 작은 돌에 그 뜻을 새기는 바이다.

    글 : 李丙允(이병윤), 앞면 예서 : 金思達(김사달), 뒷면 한글 : 申斗榮(신두영)

    1978년 8월

     

     
     
     

    송촌 지석영 선생 상(松村 池錫永 先生 像)

     

    송촌 지석영 선생(松村 池錫永 先生)은 조선왕조 말에

    처음으로 종두법(種痘法)을 도입, 보급한 근대의학의 개척자(開拓者)이며

    우리나라 사람에 의해 최초로 설립된 근대의학 교육기관인 관립의학교(官立醫學校) 초대 교장으로

    이 땅에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한 선구자(先驅者)로서 이제 우리 후학(後學)들은

    선생의 높은 업적(業績)을 기리고 교육과 사회봉사에 바친 선생의 숭고(崇高)한 이념을

    길이 전하기 위하여 뜻있는 이들의 정성을 모아 이 동상(銅像)을 건립한다.

    1987년 10월 15일

     

     
     
     

    히포크라테스 선서

     

    이제 의업에 종사할 허락을 받으매

    나의 생애를 인류 봉사에 바칠 것을 엄숙히 서약 하노라.

    나의 은사에게 대하여 존경과 감사를 드리겠노라.

    나의 양심과 위엄으로써 의술을 베풀겠노라.

    나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

    나는 환자가 알려준 모든 내정의 비밀을 지키겠노라.

    나는 의업의 고귀한 전통과 명예를 유지하겠노라.

    나는 동업자를 형제처럼 여기겠노라.

    나는 인종, 종교, 국적, 정당 정파 또는 사회적 지위 여하를 초월하여

    오직 환자에 대한 나의 의무를 지키겠노라.

    나는 인간의 생명을 수태된 때로부터 지상의 것으로 존중하겠노라.

    나는 비록 위협을 당할지라도 나의 지식을 인도에 어긋나게 쓰지 않겠노라.

    이상의 서약을 나는 나의 자유의사로 나의 명예를 받들어 하노라.

     

     
     
     

    저헌 이석형 생가 터(樗軒 李石亨 生家 址)

     

    조선 초 세종~성종 때 뛰어난 관리이며, 큰 학자인 이석형(1415~1477)의 생가터로

    계일정(戒溢亭)을 지어 교만과 분에 넘침을 경계한 계일정신을 일깨운 곳이다.

     

    ※ 계일정신(戒溢精神)이란 넘치는 것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바로 선비사상의 기본정신이기도 하다.

    이름을 얻는데 넘치지 말고, 또 행사하는데 넘치지 말며, 재(財)를 얻는데 넘치지 말고,

    먹고사는데 넘치지 말며, 복(福)도 넘치게 누리지 않는 것이 바로 계일정신인 것이다.

    즉 항상 자기 분수에 맞게 살라는 뜻이다.

     
     
     
     

    연건학생생활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