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천역(金泉驛)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업무를 시작하였고, 1958년 12월 30일 역사를 개축하였다. 1960년 11월 20일 역사를 증축하고 현대식 난방 보일러를 설치하였다. 1971년 9월 10일 무연탄·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고, 1984년 12월 30일 역사를 2층으로 증축하였다. 1990..
경부선 구미역(京釜線 龜尾驛) 경부선 개통 당시 경부선 철도는 김천역에서 금오산역을 거쳐 약목역을 통과하도록 부설하였으나, 금오산역 부근의 철로가 경사가 심하여 열차가 통과하기 어려웠다. 이에 1916년에 철로를 변경하여 김천에서 아포, 구미 지역 등을 거쳐 약목역을 통과하도..
한국철도 탄생역(인천역), 증기기관차 모갈1호 석조조형물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는 1897년 3월 22일 인천에서 착공하여 1899년 9월 18일 노량진-인천역 간 33.8km 개통된 경인철도이다. 도보로 12시간 걸리던 서울과 인천 간을 1시간 30분으로 줄이면서 서울과 인천이 1일 생활권으로 변하는 계기..
추억을 실어 나르던 경춘선(京春線) 백양리역(白楊里驛) 추억을 실어 나르던 경춘선(京春線) 백양리역(白楊里驛) 백양리역(白楊里驛)은 경춘선 성북 기점 68.1km 지점에 위치한 역으로 경춘선 개통 2년 후인 1939년 7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운영되다가 2004년 12월 10일 역무원이 없..
하늘도 세평, 꽃밭도 세평, 영동선 승부역(嶺東線 承富驛)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 꽃밭도 세평이나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 1963년부터 1981년까지 18년 동안 승부역에서 근무했던 역무원 김찬빈씨가 어느 날, 승부역에 서서 주위를 둘러보니, 하늘은 넓고 높은데 이곳 승부역..
안동역(安東驛)에서 안동역은 중앙선 철도를 개설할 때에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30년 10월 15일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12월 31일 역사 일부를 개축하였다. 1997년 10월 1일 거점 관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1999..
영동선(嶺東線) 법전역(法田驛) 1955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하였으나 2008년 12월 1일 여객 취급 중지되어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한다. 옛날 이곳에 법흥사라는 절이 있었고 그 앞에 큰 밭이 있었다. 그 밭에 마을이 생겼다고 해서 法田(법전)이라 하며, 또는 法典(법전)이라고도 한다. ..
옛 추억이 숨쉬는 중앙선(中央線) 능내역(陵內驛)-폐역 능내역(陵內驛)은 중앙선 철도역으로 팔당역과 양수역 사이에 있었다. 1956년 5월1일 역원배치간이역(역무원은 있지만 역장이 없는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7년 보통역(역장이 배치되어 있는 역)으로 승격하였다가, 1993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