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
-
육군 중위 김종묵의 묘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6. 26. 19:05
김종묵 계급 : 육군 중위 군번 : 21724 사망 일자 : 1953. 7. 2 금화(김화군) 안장 일자 : 1973. 5. 18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01묘역-5-2431 육군 중위 김종묵 6사단 소속이었던 김종묵은 휴전협정이 얼마 남지 않은 1953년 7월 13일 중공군 제67사단, 제20사단이 화천을 점령하기 위해 대공세를 펼쳤다. 금성(금화) 남쪽 407고지에서 2개 중대 규모의 중공군과 백병전 중 왼쪽 어깨에 관통상을 당했지만 적을 끝까지 추격하다 과다출혈로 전사함.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內
-
해남윤씨(海南尹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26. 04:05
三開獄門 積善之家(삼개옥문 적선지가) 해남윤씨 입향조(入鄕祖) 윤효정은 기근으로 세금을 내지 못한 농민들이 감옥에 갇히는 안타까운 사정을 보고 감옥문을 세 번이나 열어 구휼하는 적선을 했다. 이에 당시 임금 중종은 윤효정에게 ‘삼개옥문 적선지가(三開獄門 積善之家)’라는 어지를 내렸다. 해남윤씨(海南尹氏) 유래 해남윤씨 시조 윤존부(尹存富)는 고려 문종(11대, 1046~1083년) 때 인물이며, 중시조 8세 윤광전(光琠)은 고려 충숙왕(27대, 1332-1339년) 때 사온직장영동정(司醒直長令同正) 봉직 후 가솔을 데리고 전남 강진(탐진) 덕정동을 세거지로, 후손이 번연하여 8파(長派, 竹寺洞派, 支石派, 富春派, 項村派, 龍山派, 漁樵隱派, 忠南派)를 이루었다. 해남윤씨가 됨은 조선 중종(11대, 15..
-
육군 상병 최병연의 묘(陸軍 上兵 崔炳鍊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6. 25. 20:04
33982 1971년 8월 16일 인제에서 순직 계급 : 상병 군번 : 12058446 출생 1948년 2월 10일 사망 1971년 8월 16일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01-4-33982 전쟁기념관은 비무장지대(DMZ)에 침투한 무장간첩을 소탕하고 전사한 최병연 육군 상병을 2008년 3월의 호국인물로 선정. 발표한 바 있다. 최병연(崔炳鍊, 1948~1971) 군번 12058446. 전북 임실군 관촌면에서 출생. 제12사단 제51연대 수색중대 소총수였던 최병연 일병은 1971년 8월 16일 강원도 인제 서화리의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DMZ)에서 침투 무장공비 포획작전시(捕獲作戰時)에 전사하였다. 1971년 8월 16일 12시 35분경 제12사단 지역인 강원도 인제군 해안면 서화리 일대의 비무장지대에 북..
-
금천강씨(衿川姜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25. 04:04
금천강씨(衿川姜氏) 유래(由來) 금천강씨 본관(本貫)은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와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른 강궁진(姜弓珍)께서 하사 받은 사성(賜姓)이다. 금천(衿川=衿州)은 시흥의 옛 지명으로 지금(只今)의 관악, 금천, 광명, 의왕, 시흥 일대가 금주현(衿州縣)이다. 관악구 낙성대(落星垈)는 인헌공(仁憲公) 강감찬(姜邯贊)께서 문곡성(文曲星)의 정기(精氣)를 받고 태어난 곳이다. 강감찬 장군은 강궁진의 2세로 귀주대첩(龜州大捷)을 통해 나라(高麗)를 지킨 명장(名將)으로 문하시중까지 올랐다. 금천 문중은 고려 초기에는 문벌 귀족으로 성장했으나, 고려 중기부터는 쇠퇴했다가, 조선 중기에 와서 14세 강희(姜曦)[吏曹正郞], 15세 강숙돌(姜叔突)[司諫院 大司憲 淸白吏], 18세 강찬..
-
탐진최씨(耽津崔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24. 04:09
탐진최씨(耽津崔氏) 유래 탐진최씨(耽津崔氏)는 전라남도 강진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始祖)는 최사전(崔思全, 1067~1139년)이다.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의 난(亂)을 평정하고 추충위사공신으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선대(先代)는 탐진현 출신으로, 공(公)은 고려 선종 때 어의(御醫)로 입전(入殿)하여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이자 개부의동삼사수태위주국(開府儀同三司守太尉柱國)으로 최고의 영예까지 올랐다. 공(公)이 서거하니 인종은 3일간 조회를 열지 아니하고, 의종은 장경(莊景)이란 시호(諡號)와 함께 인종묘정에 체협공신(諦祫功臣)으로 배향하였다. 주요 사적은 강덕서원(강진), 무양서원(광주광역시) 등이 있다.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47 (안영동) 중구 효문..
-
육군 중장 채명신의 묘(陸軍 中將 蔡命新 墓)국내 나들이/능, 원, 묘(陵 園 墓) 2022. 6. 23. 20:07
채명신 계급 : 육군 중장 군번 : 10826 사망 일자 : 2013. 11. 25 안장 일자 : 2013. 11. 28 묘역 : 국립서울현충원 02-1-34489 1926년 11월 27일 황해 곡산 출생 2013년 11월 25일 서울 사망 자녀 : 은화 경화 경덕 자부 : 신동숙, 사위 : 최현구 손 : 승원 승현 최자경 최유정 최자성 최윤영 최혜영 창영 주연 주희 6.25전쟁 참전(제8사단 대대장, 유격대대 대대장, 제7사단 5연대장 등) 제5사단장, 맹호부대장 겸 주월한국군사령관, 제2군사령관, 스웨덴 대사, 그리스 대사, 브라질 대사,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월남최고2등훈장 등 다수 훈장 수훈 채명신(蔡命新, 1926~2013) 황해도 곡산 출신, 본관은 인천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의 ..
-
누에고치가 비단(緋緞)이 되려면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6. 23. 19:05
1. 누에섶(蠶蔟, 잠족) 익은누에가 고치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만든 집으로 잠족(蠶蔟)이라고도 한다. 짚으로 만들었으며 골 사이마다 누에를 한 마리씩 넣을 수 있는 구조이다. 2. 누에고치 품종별 표본 누에고치를 품종별로 보존한 것이다. 누에는 원산지, 무늬, 잠버릇, 계절, 고치의 색과 모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3. 명주 실타래(絹絲, 견사)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을 작업할 때 다루기 편리하도록 사리어 놓은 것이다. 4. 돌꼇(蟠車 반차, 絡絲車 낙사차) 타래실을 풀 때 쓰는 도구이다. 실마리를 당기면 ‘十’ 자 모양의 나무틀이 회전하며 걸어둔 타래에서 실이 풀어져 나온다. 5. 실 내리기 물레(紡車, 방차) 실을 자아내기 위한 도구이다. 물레바퀴의 손잡이를 돌리면 동력에 의해 가락이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