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용 순절비(金尙容 殉節碑) - 인천광역시 지방기념물 제35호 이 비는 조선 인조 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종묘(宗廟)를 모시고 강화도(江華島)로 피란했으나, 청군(淸軍)이 이곳마저 함락하자 남문루(南門樓) 위에 화약(火藥)을 쌓아놓고 불을 붙여 순국(殉國)한 충의(忠義)의 ..
무우정(舞雩亭)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 경천대(擎天臺)에 위치한 무우정(舞雩亭)은 우담 채득기(雩潭 蔡得沂,1604~1646)선생이 1636년(인조 11년)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12~1637.1)을 예견하고 숭명(崇明)의 의리를 지켜 은거하여 자연에 귀의하려 지은 정자이다. 무우(舞雩)란 춤을 추며..
강화 갑곶리(江華 甲串里)의 탱자나무 강화도(江華島)는 몽고군이 침공하였을 때 고려의 고종(高宗)께서 28년간 강화에서 정무(政務)를 살피셨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조선조(朝鮮朝) 인조(仁祖, 재위 1623~1649)의 가족이 강화도에서 전란을 피했던 장소이다. 이러한 전란(戰亂)을 계기로..
김준용장군(金俊龍將軍) 전승지(戰勝地) 및 비(碑)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광교산에서 청나라 군사를 물리쳤던 조선 중기의 무신 김준용(金俊龍, 1586∼1642) 장군의 전승지에 비 모양으로 암반에 새긴 글자이다. 김준용은 원주 김씨로 조선 광해군 원년(1609년) 무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
맛자랑 방영 '시골청국장'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1023-2에 위치한 ‘시골청국장'은 강원도 홍천에서 인제·속초 방면으로 가는 44번 국도변에 위치한 ‘철정휴게소' 건너편에 있다. 홍천에서 생산된 토종콩으로 직접 만든 진품 청국장이다. (청국장의 유래) 청국장은 전쟁 때 빨리 숙..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