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서울특별시 창덕궁-배다리 구간)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 수원시가 을묘년(1795년) 정조대왕 능행차를 221년만에 완벽 재현했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조선 22대 정조가 아버지 장헌세자(思悼世子,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을 참배했던 을묘원행(乙卯園..
혜경궁홍씨 진찬연(惠慶宮洪氏 進饌宴)-수원화성문화제 제52회 수원화성문화제를 맞이하여 2015년 10월 11일, 경기도 수원시 신풍동 소재 화성행궁(華城行宮) 봉수당(奉壽堂)에서 정조대왕(正祖大王)의 어머니인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의 진찬연(進饌宴)이 재연되었다. 진찬연(進饌宴)은 ..
창경궁(昌慶宮) 문정전(文政殿) 창경궁(昌慶宮)의 문정전(文政殿)은 왕의 공식 집무실인 편전(便殿)으로, 동향(東向)인 명정전(明政殿)과 달리 남향(南向) 건물이다. 정전인 명전전과 등을 돌리고 있는데 이런 특이한 배치구조는 다른 궁궐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편전이지만 왕실의 신주(..
용주사 대웅보전(龍珠寺 大雄寶殿) 용주사(龍珠寺)는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소를 수호하고 명복을 빌어주기 위해 세운 절이다. 사도세자의 묘를 화산으로 옮긴 다음해인 정조 14년(1790) 세웠다. 원래 이곳은 통일신라 때 세워 고려 광종 3년(952년)에 소실된 갈양사(葛陽寺)의 옛터라고 전..
화성행궁(華城行宮)의 설경(雪景)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에 위치한 화성행궁(華城行宮)은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정조 20년(1796)에 수원화성(水原華城)을 쌓은 뒤 팔달산(八達山) 동쪽기슭에 세운 행궁(行宮:왕이 궁궐을 벗어나 머무는 곳)으로 정조대왕은 효성이 지극하여 아..
화성행궁(華城行宮)의 가을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에 위치한 화성행궁(華城行宮)은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정조 20년(1796)에 수원화성(水原華城)을 쌓은 뒤 팔달산(八達山) 동쪽기슭에 세운 행궁(行宮:왕이 궁궐을 벗어나 머무는 곳)으로 정조대왕은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 사..
수원화성(水原華城)의 가을 “수원화성(水原華城)”은 1794년에 착공하여 2년 후인 1796년 완공된 성(城)으로 조선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께서 정쟁(政爭)에 휘말려 억울하게 뒤주 속에 갇혀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에 대한 효성심과 강력한 왕도정치를 꿈꾸며 건설한 효..
정조대왕 능행 반차도(正祖大王 陵幸 班次圖) 조선왕조(朝鮮王朝) 제22대 정조대왕(正祖大王)은 1795년 윤 2월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모친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를 모시고 화성(華城,수원)과 현륭원(사도세자 무덤)을 다녀와서 그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원행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