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초상화 전문박물관, 어진박물관 어진박물관(御眞博物館) 어진박물관은 태조어진 전주봉안 600주년을 맞이해 2010년 11월 6일에 개관하였다. 이곳에는 국보 제317호인 태조어진을 비롯해 태조어진을 봉안할 때 사용된 각종 가마유물 및 경기전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태조어진(국..
태조의 영정을 봉안한 유적, 경기전(慶基殿) - 사적 제339호 경기전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봉안한 곳이다. 경기전의 태조 어진은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건국자의 초상이며, 경기전 또한 유일하게 남아있는 지방의 진전(眞殿)이다.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肖像), 진전은 어..
이성계(李成桂)의 영정(影幀)을 봉안(奉安)한 곳,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 전북 전주시 풍남동의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은 조선(朝鮮) 이태조(李太祖)의 영정(影幀)을 봉안(奉安)한 곳이다. 전주(全州)는 원래 조선왕조의 시조인 신라(新羅) 사공(司空) 이한공(李翰公)의 발상지(發祥地..
예종대왕 태실 및 비 (睿宗大王 胎室 및 碑) 태실(胎室)은 왕이나 왕실의 자손이 태어났을 때 그 탯줄을 모셔두는 곳을 이르는 것으로, 그 형태는 승려의 사리탑과 비슷하다.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태실(胎室)은 예종대왕(재위:1468년~1469년)의 태를 묻은 곳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전시한 곳, "전주사고(全州史庫)" 전주사고(全州史庫)는 조선시대 4대 사고(史庫)의 하나로 1439년(세종 21) 사헌부(司憲府)의 건의로 지금의 전주시에 있던 경기전(慶基殿) 안에 설치되었다. 처음에 실록(實錄)들을 여러 차례 옮겨 보관하다가, 1445년 12월 서울 ..
태조(太祖)의 어진(御眞)을 모신 곳,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풍남동)에 위치한 전주 경기전(全州 慶基殿)은 조선 왕조를 개국시킨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어진(御眞)을 봉안한 곳이다. 태조 어진을 모신 곳을 어용전, 태조진전 등으로 명명하..
전주향교 대성전(全州鄕校 大成殿) 향교(鄕校)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고, 지방 백성들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국립교육기관을 가리킨다. 전주향교는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고려시대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며, 원래 지금의 경기전이 있던 자리에 있었지만 조선 태종 10..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