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서는 유일한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 양천향교(陽川鄕校) 전국에 남아있는 234개 향교 중 서울에서는 유일한 양천향교로 조선 태종12년(1411년)에 세워져 노후된 것을 1981년 전면 복원하여 전통 유교 문화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을 비롯하여 명륜당(..
공자가 노자에게 도를 묻다. 공자가 노자에게 도를 묻다. 작가 : 우웨이샨(Wu Weishan) - 중국(China) 작품 크기 : 259cm x 52cm x 62cm(공자), 253cm x 50cm x 50cm(노자) 재질 : 브론즈(Bronze) 제작연도 : 2012년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51 (방이동) 소마미술관 야외조각공원
인제향교(麟蹄鄕校)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聖賢)에 대한 제사와 유학 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인제향교는 조선 초기에 인제읍 서북리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그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던 것..
오산시 궐리사(烏山市 闕里祠) - 경기도기념물 제147호(1994. 4. 20 지정) 궐리사는 공자의 64세손인 공서린(孔瑞麟, 1483~1541)이 서재(書齋)를 세워 후학을 지도하던 장소이다 . 공서린은 중종 때의 문신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투옥되기도 하였다. 이에 정조가 이 장소에 사당을 짓..
경기 남부 유교의 본산, 수원향교(水原鄕校) 경기 남부 유교의 본산, 수원향교(水原鄕校) 향교(鄕校)는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한 국립교육기관이다. 수원 향교는 원래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있었다. 그러나 1789년(정조13)에 수원 읍치(邑治)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
수원향교(水原鄕校) 향교(鄕校)는 조선시대 지방에 설치한 국립교육기관이다. 수원 향교는 원래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있었다. 그러나 1789년(정조13)에 수원 읍치(邑治)가 지금의 수원시로 이전되면서 팔달산 남쪽 기슭에 자리 잡게 되었으며 여러번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강양향교(江陽鄕校)합천향교는 원래 합천군 군청 소재지에 있었으나 1881년(고종 18) 수해 때 야로면 구정리로 이전 하였다.이후 1965년 군내의 인근 4개면(합천, 율곡, 대양, 용주) 유림들이 뜻을 모아 지금의 자리에 강양향교를 새로 건립하였다.경내에는 대성전(大成殿), 내삼문(內三門), 명..
고양향교(高陽鄕校)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고양향교는 최초 건립 당시에는 관아가 있던 원당리 서삼릉터에 세워졌으나, 몇 번의 이전 끝에 1625년 현 위치인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에 자리 잡게 되었다.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