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선생의 묘(秋史 金正喜 先生의 墓),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8호 - 완당선생경주김공휘정희묘(阮堂先生慶州金公諱正喜墓) 김정희 선생 묘 앞에는 상석이 놓여 있고 묘의 바로 오른쪽 앞에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비석은 직사각형의 화강암 대좌 위에 오석(烏石)의 비신(碑身..
추사 김정희선생 고택(秋史 金正喜先生 古宅)과 유적지(遺蹟地) 김정희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김정희의 증조부 김한신은 영조대왕의 사위가 되면서 예산과 서울에 저택을 하사 받았다. 예산의 집은 53칸 규모였는데, 충청도 53개 군현에서 한 칸씩 건립 비용을 분담하여 지었다고 한다. ..
추사고택(秋史古宅) 추사체험관(秋史體驗館) 추사고택(秋史古宅) 추사체험관(秋史體驗館) 추사체험관은 추사고택 방문객에게 추사문화의 우수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도록 꾸민 곳이다. 이곳에는 추사선생의 홍보와 함께 체험장에 '탁본 체험, 추사체 써보기, 세한도·난초 그리기, 붓글..
추사유배지(秋史流配址)와 추사관(秋史館)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는 시(詩),서(書),화(畵) 분야에서 독창적이며 뛰어난 업적을 남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예술가이다. 헌종6년(1840년) 55세 되던 해에 억울한 누명을 쓰고 제주도로 유배되어 헌종14년(1848년)까지 약 9년간 이곳에..
추사의 "소창다명 사아구좌(小窓多明 使我久坐)" 小窓多明 使我久坐 조그마한 창에 햇빛이 밝아 나를 오랫동안 앉아있게 한다. 예서이면서 행서이다. 이 현판의 낙관은 ‘칠십이구초당 七十二鷗艸堂’으로 되어있다. 김정희의 명호는 알려진 것만도 300여개나 된다. 선생의 명호는 삶의 ..
대흥사 북원구역(大興寺 北院區域) - 침계루, 대웅보전, 백설당대흥사 북원구역은 침계루(枕溪樓) 앞의 금당천(金塘川)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북원이라고 한다.신라 말에 조성된 응진당 삼층석탑이 있으며 사찰에서 가장 고즈넉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곳이다.대웅보전(大雄..
봉은사 판전 현판(奉恩寺 板殿 懸板) 봉은사 판전 현판 또는 봉은사 김정희서판전 현판(奉恩寺 金正喜書板殿 懸板)은 조선 19세기 전반의 대표적 문인서화가 김정희가 만년에 쓴 봉은사 판전의 현판 필적이다. 봉은사 판전 현판은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죽기 사흘 전에 쓴 ‘판전’이란 ..
단양 사인암(丹陽 舍人巖) - 명승 제47호 단양(丹陽) 사인암(舍人巖)은 푸르고 깊은 계류를 끼고 하늘 높이 치솟은 기암절벽이 마치 다른 색깔의 비단으로 무늬를 짠 듯 독특한 색깔과 모양을 가지고 있다. 암상에는 노송까지 곁들여 이곳은 마치 해금강을 떠오르게 하는 풍경으로 유명한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