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적인 한식 기와집, 운현궁(雲峴宮) 노안당(老安堂) 운현궁에서 사랑채로 쓰였던 노안당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일상 거처였으며 파격적 인사정책, 중앙관제복구, 서원철폐, 복식개혁 등 국가주요정책을 논의했던 곳이다, 전형적인 우리나라 한식 기와집으로 처마끝에 각목을 ..
항아리로 만든 "독우물(옹정)"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선생은 4년간 과지초당(瓜地草堂)에 머물면서 직접 우물에서 물을 길어 마셨다고 한다. 독우물은 독(항아리)를 묻어 우물을 만들었기에 독우물, 또는 옹정(甕井)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독우물은 과지초당과 더불어 과천 소재 추사 관련 유적으로..
극락보전(極樂寶殿)의 다른 이름인 "무량수각(无量壽閣)"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가 쓴 무량수각(無量壽閣)이라는 현판으로 이 현판 글씨는 추사가 제주도 유배 중에 쓴 것으로 무량수각과 함께 노완(老玩)이라고 쓴 낙관이 새겨져 있다. 무량수각(无量壽閣)은 아미타불(阿彌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