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산 케이블카(內藏山 Cable car) 내장산 케이블카는 1980년 개통하여 탐방안내소부터 연자봉 중턱(연자대 전망대)까지 운행을 한다. 정원 50명의 케이블카는 길이 668m를 가공삭도(架空索道) 왕복식으로 매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상부 정류장에서 내려서 300m정도 거리에 위치한 전망대에..
내장사 삼성각(內藏寺 三聖閣) 삼성신앙(三聖信仰)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土俗信仰)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 독성각, 칠성각 등의 전각..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사찰 당우(堂宇), 내장사 극락전(內藏寺 極樂殿)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신 전각으로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도 하며, 전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964년에 세워졌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인간의 가장 큰 고통인 죽음을 물리치고 영원한 생명을 주..
내장사 소장 조선 동종(內藏寺 所藏 朝鮮 銅鐘) 청동(靑銅)으로 만든 이 종은 내장사(內藏寺)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에서 옮겨 왔다. 높이 80Cm, 종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소형 종이지만, 조선후기 범종(梵鐘)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
스님이 열반(涅槃)하신 후 사리를 모시는 곳,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 초창기 영은사(靈隱寺)의 가람터로 알려진 내장사 부도전(內藏寺 浮屠殿)에는 영은사를 부흥시킨 신암, 해선 두 선사의 유골사리와 16좌의 석종형 부도와 석탑 1좌, 탑비 16개가 있다. 부도(浮屠)란 고승(高僧)들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 내장사 관음전(內藏寺 觀音殿) 큰 자비(慈悲)의 어머니이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으로 전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내장사 관음전에는 천수천안관자재보살상(千手千眼觀自在菩薩像)이 모셔져 있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는 우화정(羽化亭) 내장산 진입로에 있는 우화정은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昇天)하였다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羽化亭)'이라고 부른다. 이곳은 1482년 무렵 내장산성(內藏山城)이 있었던 곳으로 승군(僧軍)과 왜적(倭敵)이 격렬한 전투를 벌인 장소이다. 오..
향토자유수호기념비(鄕土自由守護紀念碑) -국가보훈처 현충시설- 관리번호: 51-2-1 소재지: 전북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 경내 관리자: 향토자유수호기념비 보존회장 여기에 자유수호(自由守護)의 영령(英靈)들이 고이 잠들고 있다. 이 고장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하여 분연(憤然)이 일어선 500..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