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 제일의 호국충효 원찰, 용추사 대웅전(龍湫寺 大雄殿)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 위치한 용추사(龍湫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487년(신라 소지왕 9) 각연(覺然)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에는 용추암(龍湫庵)이라고 불렀다. 각연이 덕유산에 장수사(長水..
미륵산 당래선원(彌勒山 當來禪院)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미래에 오실 미륵불(彌勒佛)을 모신 곳인 경남 통영시 미륵산(彌勒山) 당래선원(當來禪院) 경내의 여러가지 석조물과 주변 풍경임. 삼탑불사기념비(三塔佛事紀念碑) 기념석 상단에는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이라고 쓴 ..
천신(天神)들이 마시는 상서(祥瑞)로운 음료....감로수(甘露水) 낙산사 홍련암 감로수(落山寺 紅蓮庵 甘露水) 삼국유사에 보면 신라의 원효대사가 낙산사를 참배하기 위해 오가다 보니 흰옷 입은 여인이 논에서 벼를 베고 있었는데 대사(大師)가 그 벼를 달라고 하자 여인은 벼가 익지 않았다고 대답했..
동해의 관음기도도량 "낙산사 홍련암(落山寺 紅蓮庵)" 홍련암(紅蓮庵)은 강원도 양양군 낙산사 경내에 있는 작은 암자로 법당마루 밑으로 동해의출렁이는 바닷물을 볼 수 있게 절벽 위에 세워져 있으며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좌선한지 7일째 되는 날, 바다 속에서 홍련(紅蓮)..
동해의 명승지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에 위치한 낙산사 의상대(洛山寺 義湘臺)는 송강 정철(松江 鄭澈,1536~1593)의 “관동별곡(關東別曲)”에 소개된 관동8경(關東八景) 가운데 하나로 동해의 명승지 가운데 바닷가 암벽위 정자 위에서 해돋이를 볼 수 ..
수종사 사적기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이 곳 운길산 수종사는 멀리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는 옛 가람이다. 고려 태조 왕건이 상서로운 기운을 좇아 이 곳에 이르러 구리종을 얻음으로써 부처님의혜광을 통해 고려를 건국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1439년(세종 21년)에 이르..
수종사 응진전 (水鍾寺 應眞殿,나한전)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시고 그 좌우에 석가모니의 제자인 16나한상을 안치한 법당이다. 석가모니의 제자들인 16나한을 모시고 있어 나한전이라고도 한다. 나한은 아라한을 줄인 말인데 존경과 공양을 받아 마땅한 사람으로 진리에 도달했다는 뜻에서 ..
수종사 약사전 (水鍾寺 藥師殿)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시고 그 좌우에 석가모니의 제자인 16나한상을 안치한 법당이다. 약사전은 사찰에서 약사여래를 주불로 봉안하고 있는 법당으로 보통은 동쪽을 향해 자리잡고 있다. 약사전에는 약사불이라고도 하는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