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산 땅굴역사전시관 궁산 땅굴은? 궁산 땅굴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 강점기에 굴착된 곳으로, 무기나 탄약 등 군수물자를 저장하거나 김포비행장을 감시하고, 공습 때에는 부대 본부로 사용하기 위한 곳이었다고 전해진다. 이곳을 건설하기 위해 인근 지역 주민을 보국대로 강제 동원..
제3 땅굴(The 3rd Tunnel) 제3 땅굴은 서울에서 불과 44km 거리에 있으며, 규모는 폭 2m, 높이 2m로 지하평균 깊이 73m로 총길이 1,635m를 굴착 남쪽(군사분계선에서 남쪽으로 435m)으로는 5갈래로 나누어진 출구를 내고 전술능력은 1시간당 3만명의 병력이 통과할수 있다. 제 3땅굴은 귀순한 김부성씨..
기습작전을 목적으로 한 "철원 제2땅굴" 입구에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북쪽13km에 위치한 제2땅굴은 1975년 3월19일에 발견되었다. 비무장지대(DMZ)안에서 발견된 이 땅굴은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킬 수 있는 광장까지 갖추어 놓았고, 출구는 세 갈래로 분산시켜 놓았다. 이 땅굴은 너비 2.1m..
미세한 폭음를 듣고 발견한 "철원 제2땅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북쪽13km에 위치한 제2땅굴은 1975년 3월19일에 발견되었다. 철원 북쪽 비무장지대(DMZ)안에서 발견된 이 땅굴은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킬 수 있는 광장까지 갖추어 놓았고, 출구는 세 갈래로 분산시켜 놓았다. 이 땅굴은 너비 2...
핵 폭탄 보다 더욱 효과적이며 위력적인 땅굴(제4땅굴)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현3리에 위치한 제4땅굴은 1990년 3월 3일 발견되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내부 관람용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우리의 국방력 강화와 남파간첩의 지상침투가 한계에 이르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적화통일이..
소위(少尉)로 추서(追敍)된 충견 "헌트(Hunt)"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제4땅굴 입구에 있는 제4땅굴 발견당시 적이 매설한 수중지뢰에 의해 희생된 충견비. 이 군견은 육군 제21사단에서 활약한 "헌트"라는 군견으로 1990년 3월 제4땅굴 소탕작전 시 북한군이 설치해 놓은 지뢰를 탐지, 자신의 몸..
제1땅굴(상승OP), 제25보병사단 제 1땅굴은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석장리(漣川郡 百鶴面 石墻里) 제25보병사단 관할 전방 관측소(OP)인 상승전망대앞 비무장지대에 위치하여 개방할 수 없어 가장 가까운 관측소인 상승OP에 실제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관광객에게 보여주고 있다. 제1 땅굴은 19..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