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 조계종, 수원 팔달사(水原 八達寺) 수원시의 최대 번화가인 팔달문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팔달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다. 팔달사는 1917년 금강산 유점사의 비구니 윤홍법당 스님이 도심에 불교를 포교하기 위해 이곳에 최초로 사찰을 건립했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조그마..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 국보 제44호 - 보림사 대적광전(寶林寺 大寂光殿) 앞에 위치한 삼층석탑과 석등 북 삼층석탑(北 三層石塔) 석등(石燈) 남 삼층석탑(南 三層石塔)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
대한불교조계종 총본산 조계사(大韓佛敎曹溪宗 總本山 曹溪寺) 대한불교조계종 총본산 조계사(大韓佛敎曹溪宗 總本山 曹溪寺) 조계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의 직영사찰이다. 1910년 전국 교구본사의 의연금(義捐金)으로 창건된 각황사(覺皇寺)를 1937년 현재 자리로 옮기고, 이듬해 삼..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忠州 彌勒大院址 石燈)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호 - 전형적인 8각석등으로 균형이 잘 잡힌 우수한 석등이다. 하대석(下臺石)은 4각형이며 윗부분에 연꽃을 새겼다. 간주석(竿柱石)은 아무런 무늬가 없는 8각형의 돌기둥으로 상대석(上臺石)에는 앙련(仰蓮)을 조각..
목포 정광정혜원(木浦 淨光定慧院) - 등록문화재 제696호 목포 정광정혜원은 1918년 세워진 사찰로 불당과 요사채(스님들이 기거하는 곳)가 ‘口'자형 장방형(사각형) 중정(中庭)을 중심으로 한 건물 내에서 예불공간과 생활공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등 일본식 사찰의 독특한 평면구조..
소박하고 조용한 사찰, 양양 죽도암(襄陽 竹島庵) 죽도암은 강원도 양양군의 동산항과 인구항 사이의 작은 섬 죽도(竹島)에 깃든 작은 사찰이다. 죽도의 사찰 내에는 관음전과 해수관음상, 포대화상 등이 있다. 죽도의 바다쪽으로 향해 있어 그곳에 암자가 있으리라고는 짐작조차 할 수 없..
무봉산 만기사(舞鳳山 萬奇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942년(태조 25) 남대사(南大師)가 창건하였으며, 조선 세조 때 왕명으로 중수하였다. 그 뒤 퇴락된 채 명맥만을 이어오다가 1972년 주지인 혜송(慧松)이 대웅전과 삼성각(三聖閣)·요사채 등을 중수..
용인 문수산 법륜사(龍仁 文殊山 法輪寺) 관음성지 발원기도 도량으로 비구니스님들의 수행정진처이자 템플스테이를 열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찰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법륜사는 용인시 문수산 기슭에 위치하며 국내 최대 규모의 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