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선비촌 영주는 예로부터 학문과 예(禮)를 숭상했던 선비문화의 중심지이며, 선비촌이 조성되어 있는 순흥은 우리나라 최초의 성리학자였던 회헌 안향 선생의 고향이기도 하다. 선비촌은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야 할 선비의 정신과 태도를 새롭게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으로 활..
소수서원 사료관(紹修書院 史料館) 소수서원 사료관은 소수서원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고자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전시해 놓은 곳으로 소수서원의 역사와 전통 및 주요 배출인물, 그리고 강학과 제향을 주제로 다양한 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다. 서원은 강학과 제향기능을 가진 점..
소수서원(紹修書院) - 세계문화유산(유네스코 ID 1498-001)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자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이 지역 출신 고려시대 유학자인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위패를 모신 사묘(祠廟)를 세우고, 이듬해 백운동서..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榮州 紹修書院 文成公廟) - 보물 제1402호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榮州 紹修書院 文成公廟) - 보물 제1402호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을 주향(主享)으로 하는 사우로, 1544년(중종 39) 추배(追配)된 문정공(文貞公) 안축(安軸, 1287~1348), 문경공(文敬公) 안보(安輔, 1302~1..
회헌영정(晦軒影幀) - 국보 제111호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榮州 宿水寺址 幢竿支柱) - 보물 제59호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榮州 宿水寺址 幢竿支柱) - 보물 제59호 당간지주는 절의 위치를 알리는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절에서는 불교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당(幢)이라는 깃발을 높이 달았다. 당간지주는 당을 매달던 깃..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부석사(浮石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의하면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신라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676년에 창건하고 화엄종을 널리 전했다고 한다. ‘송고승전(宋高僧傳)’ 의상전에는 의상과 선묘, 부석..
부석사 자인당(浮石寺 慈忍堂), 응진전(應眞殿), 단하각(丹霞閣)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부석사 자인당(浮石寺 慈忍堂) 자인당은 선방의 용도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부석사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폐사지에서 옮겨 온 석불을 이곳에 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