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독립유공인사숭모비 -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항일독립지사숭모비(抗日獨立志士崇慕碑) 항일독립유공인사숭모비(抗日獨立有功人士崇慕碑) -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 53-1-11 이 비는 일제침략기에 국권회복을 위해 투쟁한 무안지역 출신들의 의병활동, 만세운동, 광주..
제주항일기념관(濟州抗日記念館) 제주기미독립 만세운동의 진원지인 조천 미밋동산(만세동산)을 성역화하고 제주지역의 항일독립운동에 관한 역사적 자료를 모아 전시함으로써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자주독립정신을 계승발전 시키고 자라나는 후세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과 애..
애국지사벽담동화대종사비(愛國志士碧潭東華大宗師碑) 벽담(碧潭) 방동화(房東華) 연보(年譜) 이름(호적명)은 동화(東華), 자(字)는 하룡(河龍)이고, 법명은 묵연(黙然), 법호는 벽담(碧潭)이다. 본관(本貫)은 남양(南陽)이고 속성(俗姓)은 방(房)씨이다. 족보명은 용원(龍源)이다. 1887년 8..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濟州海女抗日運動紀念塔)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2004년 12월 9일 지정)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은 1931년 6월부터 야학에서 민족의식을 키워온 부춘화, 김옥련, 부덕량 등 구좌읍, 성산읍, 우도면 해녀들이 일제의 극심한 수탈에 항거, 1932년1월까지 연인된 1만7..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КОРЕЙСКИЙ КУЛЬТУРНЫЙ ЦЕНТР) 1863년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 1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건립한 고려인문화센터는 1만㎡ 부지에 지상 2층, 연면적 4천㎡ 규모로 총 40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기념관에는 발..
감자 꽃 노래비 감자꽃 자주 꽃 핀 건 자주감자 파보나 마나 자주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보나 마나 하얀 감자 동천 권태응(洞泉 權泰應) 본관은 안동이며, 호는 동천(洞泉), 충주시 칠금동에서 태어났다. 1932년 충주공립보통학교, 1937년 서울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를 졸업하..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남한산성(南漢山城)-사적 제56호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2년(672년)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성재(省齋) 이시영 선생(李始榮 先生) 성재 이시영선생(1869 ~1953)은 서울 저동에서 태어나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가족 50여명과 함께 남만의 유하현 추가보(鄒家堡)로 망명하였다. 이곳에서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고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한 준비를 착수하였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